2024년 12월 30일 월요일

책먹는 여우 - 프란치스카 비어만 (Franziska Biermann)

[Google책] 책먹는 여우

1

책을 너무 좋아하는 여우 아저씨는 닭이나 토끼 대신 책을 먹었어. 특히 두껍고 글 많은 책을 좋아했는데, 마치 영양가 높은 음식처럼 생각했대. 어느 날 밤, 큰 서점에 몰래 들어간 여우 아저씨는 맛있는 요리책을 너무 많이 먹어서 배가 빵빵해져 움직일 수 없게 되었지.

다음 날 아침, 서점 주인 할아버지는 깜짝 놀랐지만, 여우 아저씨에게 화내는 대신 따뜻한 차를 주며 이야기를 들어주었어. 여우 아저씨가 책을 정말 좋아한다는 걸 알게 된 할아버지는 매일 밤 서점에 와서 책을 읽도록 허락해 주었지.

그 후 여우 아저씨는 책을 먹는 대신 읽으면서 새로운 지식을 쌓았고,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책 이야기도 해 주는 유명한 여우가 되었대. 이 이야기는 책을 ‘먹는’ 것보다 ‘읽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 줘. 따뜻한 마음이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도 말이야.

2

옛날 옛날 아주 책을 좋아하는 여우 아저씨가 살았어. 이 여우 아저씨는 다른 여우들처럼 닭이나 토끼 대신 책을 먹는 걸 좋아했지. 특히 두껍고 글자가 많은 책을 좋아했는데, 사전이나 요리책처럼 말이야. 여우 아저씨는 책을 먹으면 배도 부르고 똑똑해지는 기분이 들었대.

어느 날 밤, 여우 아저씨는 큰 서점에 몰래 들어가서 책들을 신나게 먹기 시작했어. 그러다 맛있는 요리책을 너무 많이 먹었더니 배가 너무 불러서 꼼짝도 할 수 없게 되었지 뭐야!

다음 날 아침, 서점 주인 할아버지는 책이 여기저기 갉아 먹힌 것을 보고 깜짝 놀랐지만, 배가 빵빵한 여우 아저씨를 보고는 따뜻하게 차를 내주며 이야기를 들어주었어. 여우 아저씨는 책을 먹는 이유를 솔직하게 이야기했고, 할아버지는 여우 아저씨가 책을 정말 좋아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

그 후로 할아버지는 여우 아저씨에게 매일 밤 서점에 와서 책을 읽도록 허락해 주었어. 여우 아저씨는 더 이상 책을 먹지 않고, 밤마다 책을 읽으며 새로운 것을 배우고 지식을 쌓았지. 그리고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재미있는 책 이야기도 해 주면서 아주 유명해졌대.

이 이야기는 책을 ‘먹는’ 것보다 ‘읽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는 것을 알려 줘. 처음에는 배고픔 때문에 책을 먹었지만, 결국 책 속의 이야기와 지식이 정말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거야. 서점 할아버지의 따뜻한 마음 덕분에 여우 아저씨는 올바른 방법을 배울 수 있었지. 우리 친구들도 책을 즐겁게 읽고 책이 주는 즐거움과 지식을 마음껏 누리길 바라!

3

안녕, 친구들! 오늘은 아주 특별한 여우 이야기, 프란치스카 비어만(Franziska Biermann)의 『책 먹는 여우(The Fox Who Ate Books)』 이야기를 해 줄게. 이 책은 책을 정말 정말 좋아하는 여우 아저씨에 대한 이야기야.

이 여우 아저씨는 다른 여우들처럼 닭이나 토끼를 잡아먹는 걸 싫어했어. 대신, 책을 먹는 걸 좋아했지! 그것도 아주 맛있는 책들만 골라서 먹었어. 여우 아저씨는 서점에 몰래 들어가서 책들을 조금씩 갉아 먹었는데, 특히 사전이나 요리책처럼 두껍고 글자가 많은 책을 좋아했대. 왜냐하면 그런 책들이 영양가가 많다고 생각했거든!

어느 날 밤, 여우 아저씨는 아주 크고 멋진 서점에 들어갔어. 그곳에서 아주 맛있는 책 냄새를 맡고 정신없이 책들을 먹기 시작했지. 그러다 실수로 책 한 권을 너무 많이 먹어버렸어. 그 책은 바로 요리책이었는데, 너무 많이 먹었더니 배가 너무 불러서 움직일 수가 없게 된 거야!

다음 날 아침, 서점 주인 할아버지는 깜짝 놀랐어. 책들이 여기저기 갉아 먹혀 있고, 배가 빵빵한 여우 한 마리가 책 더미 속에 꼼짝 않고 누워 있었거든. 하지만 할아버지는 화를 내는 대신, 여우 아저씨에게 따뜻한 차를 내주고 이야기를 들어주었어. 여우 아저씨는 책을 먹는 이유를 설명했고, 할아버지는 여우 아저씨가 책을 정말 사랑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지.

그 후로, 서점 할아버지는 여우 아저씨에게 매일 밤 서점에 와서 책을 읽도록 허락해 주었어. 여우 아저씨는 더 이상 책을 먹지 않고, 매일 밤 책을 읽으면서 새로운 지식을 쌓았지. 그리고 가끔씩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책 이야기도 해 주면서 아주 유명해졌대.

이 이야기에서 중요한 건, 여우 아저씨가 책을 ‘먹는’ 대신 ‘읽는’ 방법을 배우게 되었다는 거야. 처음에는 배고픔을 채우기 위해 책을 먹었지만, 결국에는 책 속의 지식과 이야기들이 정말로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거지. 서점 할아버지의 따뜻한 마음도 아주 중요해. 만약 할아버지가 여우 아저씨를 혼내기만 했다면, 여우 아저씨는 계속 책을 먹었을지도 몰라.

우리 친구들도 이 책처럼 책을 즐겁게 읽고, 책 속에 담긴 재미있는 이야기와 새로운 지식을 많이 얻길 바라! 책은 우리에게 맛있는 음식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 줘.

4

단순한 동화처럼 보이지만, 이 책은 독서의 의미, 지식의 습득 방식, 그리고 인간관계의 본질에 대해 생각해 볼 거리를 던져 주는 작품이야.

주인공 여우는 여느 여우와 달리 닭이나 토끼 대신 책을 ‘먹는’ 독특한 취향을 가지고 있어. 여기서 ‘먹는다’는 행위는 단순히 물리적으로 책을 섭취하는 것을 넘어, 지식을 자기 것으로 만들고자 하는 강렬한 욕망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어. 하지만 여우의 방식은 다소 극단적이지. 그는 책의 내용을 소화하는 것이 아니라, 책 자체를 문자 그대로 삼켜 버리니까.

이야기 속에서 여우는 특히 사전이나 요리책처럼 두껍고 정보가 많은 책들을 선호해. 이는 겉으로 드러나는 지식의 양에 집착하는 현대 사회의 단면을 풍자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해. 마치 많은 정보를 ‘소유’하는 것이 곧 지적인 사람이 되는 것처럼 여기는 태도를 꼬집는 거지.

여우가 서점에서 요리책을 과식하여 꼼짝 못하게 되는 장면은 흥미로운 전환점이야. 이 사건을 통해 여우는 자신의 지식 습득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깨닫게 돼. 단순히 책을 삼키는 것만으로는 진정한 지식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즉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

서점 주인 할아버지의 등장은 이 이야기의 핵심적인 부분이야. 할아버지는 여우를 혼내거나 쫓아내지 않고, 따뜻하게 차를 내주며 이야기를 들어줘. 이는 타인을 이해하려는 열린 마음, 그리고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어. 만약 할아버지가 권위적으로 여우를 처벌했다면, 여우는 변화의 기회를 얻지 못했을 거야.

할아버지의 배려로 여우는 서점에서 책을 ‘읽는’ 기회를 얻게 돼. 이는 지식을 습득하는 올바른 방법을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지. 책을 ‘먹는’ 행위는 단편적인 정보의 획득에 그쳤다면, ‘읽는’ 행위는 책의 내용을 이해하고, 사고력을 확장하며, 더 나아가 자신만의 생각을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이어져.

이야기의 결말에서 여우는 단순히 책을 좋아하는 존재에서, 책의 가치를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존재로 성장해.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책 이야기를 들려주는 모습은 그가 진정한 지식의 의미를 깨달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지.

『책 먹는 여우』는 단순히 재미있는 이야기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어. 이 책은 우리에게 진정한 독서란 무엇인지, 지식을 어떻게 습득해야 하는지,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를 어떻게 맺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져. 여우의 변화를 통해, 우리는 지식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정보를 많이 아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데 있다는 것을 깨닫게 돼. 또한, 타인에 대한 따뜻한 이해와 포용이 개인의 성장을 어떻게 이끌어낼 수 있는지도 보여주지. 중학생인 여러분도 이 책을 통해 자신만의 독서 습관과 지식 습득 방식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라.

The Fox Who Ate Books
The Fox Who Ate Books 프란치스카 비어만 글그림

5

이야기는 책을 유난히 좋아하는 특이한 여우 아저씨로부터 시작됩니다. 다른 여우들처럼 사냥을 하거나 먹이를 찾아다니는 대신, 그는 책을 ‘먹는’ 것을 즐깁니다. 여기서 ‘먹는다’는 것은 실제로 책장을 뜯어 먹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여우 아저씨는 책을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마치 음식처럼 섭취함으로써 지식을 얻는다고 믿습니다. 특히 두껍고 정보가 많은 책, 예를 들어 사전이나 요리책 등을 선호하는데, 이는 마치 영양가 높은 음식을 고르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여우 아저씨는 책을 구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동원합니다. 처음에는 돈을 모아 서점에서 책을 사 먹었지만, 책값은 비싸고 그의 식욕은 점점 왕성해졌습니다. 돈이 떨어지자 집안의 가구들을 전당포에 맡겨 돈을 마련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마저도 한계에 다다르자, 그는 국립 도서관을 이용하기 시작합니다.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마음껏 ‘음미’하는 것이죠.

어느 날 밤, 여우 아저씨는 우연히 도서관 천장 위 다락에서 숨어 살고 있는 두더지를 발견합니다. 두더지는 책으로 큰 성공을 거둔 여우를 부러워하며, 자신도 인기 작가가 되고 싶어 여우의 아이디어 수첩을 훔치려 했던 것입니다. 이 만남은 이야기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지는 않지만, 책이 가진 다양한 가치, 즉 지식의 원천이자 성공의 도구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의 중심 사건은 여우 아저씨가 서점에 몰래 들어가 벌이는 ‘만찬’입니다. 그는 밤늦게 큰 서점에 잠입하여 책들을 마음껏 먹기 시작합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요리책에 매료되어 엄청난 양을 먹어치웁니다. 하지만 너무 많이 먹은 탓에 배가 터질 듯이 불러 꼼짝도 할 수 없게 됩니다. 다음 날 아침, 서점 주인 할아버지는 엉망이 된 서점과 배가 빵빵하게 부풀어 있는 여우를 발견하고 깜짝 놀랍니다.

하지만 서점 할아버지는 여우를 혼내거나 경찰에 신고하는 대신, 따뜻한 차를 내주고 사정을 들어줍니다. 여우 아저씨는 자신이 왜 책을 먹는지 솔직하게 이야기하고, 할아버지는 그의 독특한 ‘식성’과 책에 대한 애정을 이해하게 됩니다. 이 장면은 타인에 대한 이해와 관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할아버지의 너그러운 마음씨 덕분에 여우 아저씨는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됩니다. 할아버지는 여우에게 매일 밤 서점에 와서 책을 읽도록 허락해 줍니다. 더 이상 책을 먹지 않고, 책장을 넘기며 내용을 읽고 이해하는 진정한 독서의 기회를 얻게 된 것입니다. 이를 통해 여우 아저씨는 단순히 책을 섭취하는 것보다 책 속에 담긴 이야기와 지식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이후 여우 아저씨는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책 이야기를 들려주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는 자신이 읽은 책들의 내용을 재미있게 전달하며, 아이들에게 책의 즐거움을 알려줍니다. 책을 ‘먹는’ 존재에서 책의 가치를 ‘전달하는’ 존재로 변화한 것입니다. 이는 지식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에서 여우 아저씨는 서점의 명물이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습니다. 그는 더 이상 책을 먹지 않고, 책을 통해 얻은 지식과 경험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며 행복하게 살아갑니다.

『책 먹는 여우』는 단순히 책을 좋아하는 여우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식의 습득 방식과 가치, 타인과의 관계, 그리고 진정한 성장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작품입니다.

6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책 먹는 여우』는 단순히 책을 좋아하는 여우의 이야기가 아닌, 지식 습득의 본질과 독서의 의미, 더 나아가 인간관계와 성장의 과정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이 동화는 어린아이부터 어른까지, 다양한 독자층에게 각기 다른 방식으로 다가서며 깊은 사유를 불러일으킵니다. 저는 이 책을 읽으며 지식의 진정한 가치와 소통의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이야기의 주인공인 여우는 책을 ‘먹는’ 독특한 습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지식을 소유하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설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책을 물리적으로 섭취함으로써 지식을 내면화하려는 시도는, 겉으로 드러나는 정보의 양에 집착하는 현대 사회의 단면을 풍자하는 것처럼 느껴졌습니다. 마치 많은 데이터를 ‘소유’하는 것이 곧 지적인 사람이 되는 것처럼 착각하는 우리의 모습을 반영하는 듯했습니다.

여우가 특히 사전이나 요리책처럼 두껍고 정보가 많은 책을 선호하는 점 또한 인상적입니다. 이는 지식의 ‘양’에만 치중하는 태도를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지식은 단순히 많은 정보를 축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자신만의 관점으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얻어지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야기의 전환점은 여우가 서점에서 요리책을 과식하여 꼼짝 못하게 되는 사건입니다. 이 사건을 통해 여우는 자신의 지식 습득 방식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단순히 책을 삼키는 행위로는 진정한 지식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즉 ‘양’보다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마치 과식으로 인해 오히려 몸이 아프듯이, 잘못된 방식으로 얻은 지식은 오히려 자신을 옭아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듯했습니다.

서점 주인 할아버지의 따뜻한 마음씨는 이 이야기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할아버지는 여우를 혼내거나 쫓아내는 대신, 차를 내주고 이야기를 들어줍니다. 이는 타인을 이해하려는 열린 마음, 그리고 포용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 할아버지가 권위적으로 여우를 처벌했다면, 여우는 변화의 기회를 얻지 못했을 것입니다. 타인에 대한 따뜻한 이해와 배려가 개인의 성장을 어떻게 이끌어낼 수 있는지 보여주는 감동적인 장면입니다.

할아버지의 배려로 여우는 서점에서 책을 ‘읽는’ 기회를 얻게 됩니다. 이는 지식을 습득하는 올바른 방법을 깨닫게 되는 중요한 계기가 됩니다. ‘먹는’ 행위가 단편적인 정보의 획득에 그쳤다면, ‘읽는’ 행위는 책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사고력을 확장하며, 더 나아가 자신만의 생각을 만들어내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책장을 넘기며 내용을 곱씹고, 행간의 의미를 파악하며, 작가의 의도를 추론하는 과정을 통해 여우는 진정한 독서의 즐거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야기의 결말에서 여우는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책 이야기를 들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는 자신이 읽은 책의 내용을 흥미롭게 전달하며, 아이들에게 책의 매력을 전파합니다. 이는 지식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공유하는 것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부분입니다. 자신이 얻은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고 소통하는 과정을 통해, 여우는 더욱 풍요로운 삶을 살게 됩니다.

『책 먹는 여우』는 단순히 재미있는 동화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 책은 우리에게 진정한 독서란 무엇인지, 지식을 어떻게 습득해야 하는지, 그리고 타인과의 관계를 어떻게 맺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집니다. 여우의 변화를 통해, 우리는 지식의 진정한 가치는 단순히 정보를 많이 아는 것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정보를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하며,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데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또한, 타인에 대한 따뜻한 이해와 포용이 개인의 성장을 어떻게 이끌어낼 수 있는지도 보여줍니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저는 앞으로 책을 읽을 때 단순히 정보를 얻는 것 이상으로, 책 속의 메시지를 깊이 생각하고 자신만의 관점으로 해석하며,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독서를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7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책 먹는 여우』는 어린 시절 단순한 흥미를 넘어, 성인이 된 지금 다시 읽어보니 지식과 욕망, 그리고 진정한 성장에 대한 깊이 있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우화임을 깨닫게 합니다. 마치 오래된 친구를 다시 만난 것처럼, 예전에는 미처 보지 못했던 새로운 의미들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어린 시절, 저는 여우가 책을 ‘먹는’다는 기발한 상상력에 매료되었습니다. 책을 음식처럼 섭취한다는 설정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동시에, 책에 대한 저의 호기심을 자극했습니다. 하지만 20대 후반이 되어 다시 읽어본 지금, 여우의 ‘식성’은 단순히 독특한 취향을 넘어, 지식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임을 알게 되었습니다.

여우가 두껍고 정보가 많은 책, 특히 사전이나 요리책을 선호하는 모습은, 마치 현대 사회에서 정보 과잉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의 모습을 투영하는 듯합니다. 우리는 끊임없이 쏟아지는 정보 속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가치 있는 정보인지 분별하기 어려워하며, 마치 여우처럼 ‘양’에 집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하지만 진정으로 중요한 것은 정보의 양이 아니라, 정보를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하느냐, 즉 ‘질’이라는 것을 이 책은 은유적으로 보여줍니다.

여우가 서점에서 요리책을 과식하여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장면은, 잘못된 방식으로 얻은 지식이 오히려 자신을 구속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마치 과식으로 인해 소화불량에 걸리듯이, 피상적인 지식의 과잉은 오히려 사고를 마비시키고 성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비판적인 사고와 깊이 있는 성찰이 필요함을 강조하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서점 주인 할아버지의 너그러움은 이 이야기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는 여우를 비난하거나 처벌하지 않고, 따뜻한 차를 내주며 이야기를 들어줍니다. 이는 타인에 대한 이해와 공감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특히, 정보와 지식이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서로의 다름을 이해하고 존중하는 태도는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할아버지의 관용은 이러한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여우가 책을 ‘읽는’ 경험을 통해 진정한 지식의 의미를 깨닫게 되는 과정은, 이 책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먹는’ 행위가 단편적인 정보의 습득에 그쳤다면, ‘읽는’ 행위는 책의 내용을 깊이 이해하고, 자신만의 관점을 형성하며, 나아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과정으로 이어집니다. 이는 지식이 개인의 성장을 넘어 사회적 소통과 연결될 때 진정한 가치를 발휘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결국 여우는 자신이 얻은 지식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존재로 변화합니다. 서점에 오는 아이들에게 책 이야기를 들려주는 그의 모습은, 지식의 공유가 개인과 사회 모두를 풍요롭게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20대 후반이 되어 다시 읽은 『책 먹는 여우』는 저에게 단순히 재미있는 동화를 넘어, 지식의 본질과 가치, 그리고 성장에 대한 깊은 성찰을 제공하는 작품으로 다가왔습니다. 특히, 정보 과잉 시대에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정한 지식이란 무엇인지, 어떻게 지식을 습득하고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질문을 던져주는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8

Franziska Biermann's "The Fox Who Ate Books" is a charming children's story that, upon closer inspection, offers a surprisingly nuanced commentary on the nature of knowledge, the perils of unchecked desire, and the importance of genuine connection. While its whimsical premise—a fox who literally consumes books—initially appeals to younger readers, the story resonates with older audiences by prompting reflection on how we acquire, process, and ultimately share information.

The protagonist, a fox with an insatiable appetite for literature, embodies the human desire for knowledge taken to an extreme. His act of physically eating books, particularly thick volumes like dictionaries and cookbooks, symbolizes a superficial approach to learning. He prioritizes quantity over quality, believing that consuming more equates to knowing more. This resonates with the modern tendency to equate information overload with genuine understanding. We live in an age of readily available information, yet true wisdom lies not in accumulating data but in critically analyzing and synthesizing it. The fox's preference for dense texts can be seen as a satirical reflection of this tendency, highlighting the futility of simply absorbing information without internalizing it.

The pivotal scene where the fox gorges himself on cookbooks in a bookstore and becomes immobilized is a powerful metaphor. His inability to move signifies the constricting nature of improperly digested knowledge. He becomes a prisoner of his own consumption, unable to benefit from the very information he sought. This incident serves as a crucial turning point, forcing the fox to confront the inadequacy of his methods.

The bookstore owner's reaction to discovering the book-stuffed fox is equally significant. Instead of reacting with anger or punishment, he offers the fox tea and listens to his story. This act of kindness and understanding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mpathy and connection in fostering growth and change. Had the bookstore owner chosen a punitive approach, the fox would have likely remained trapped in his destructive cycle. This encounter highlights the transformative power of human connection, emphasizing that true learning often occurs within a supportive and understanding environment.

The owner’s subsequent offer—allowing the fox to read in the bookstore—marks the beginning of the fox’s true intellectual and personal development. He transitions from literally eating books to actively engaging with their content. This shift represents the crucial difference between passively absorbing information and actively processing it. Reading becomes a process of understanding, interpretation, and internalization, leading to genuine knowledge and personal growth.

Ultimately, the fox transforms from a consumer of books to a communicator of their value. He shares stories with children who visit the bookstore, becoming a conduit for knowledge and fostering a love of reading in others. This transformation emphasizes the social dimension of knowledge. True understanding is not just about personal gain but also about sharing and contributing to a larger community.

"The Fox Who Ate Books" is more than just a charming children's tale; it is a thoughtful exploration of knowledge acquisition, the dangers of unchecked desire, and the transformative power of human connection. It reminds us that true learning involves not just accumulating information, but also understanding, interpreting, and sharing it with others. As a high school student navigating the complexities of education and the pursuit of knowledge, this story provides a valuable reminder to prioritize depth over breadth, understanding over mere accumulation, and connection over isolation.

8

フランツィスカ・ビアマンの『本を食べる狐』は、子供向けの愛らしい物語でありながら、知識の本質、抑えきれない欲望の危険性、そして真のつながりの大切さについて、驚くほど奥深い考察を提供しています。その奇抜な設定―文字通り本を食べてしまう狐―は、最初は子供たちの興味を引きますが、どのように情報を獲得し、処理し、最終的に共有するのかについて熟考を促すことで、より年長の読者にも共鳴します。

主人公の狐は、文学に対する飽くなき食欲を持ち、知識への人間の欲求を極端に具現化しています。彼が特に辞書や料理本のような分厚い本を文字通り食べる行為は、表面的学習へのアプローチを象徴しています。彼は量と質を優先し、多く消費することがより多くを知ることと等しいと信じています。これは、情報過多を真の理解と同一視する現代の傾向と共鳴しています。私たちは容易に情報が手に入る時代に生きていますが、真の知恵はデータを蓄積するだけでなく、批判的に分析し、統合することにあります。狐の分厚い書物を好むことは、この傾向の風刺的な反映と見なすことができ、単に情報を内面化せずに吸収するだけでは無意味であることを強調しています。

狐が書店で料理本をむさぼり食い、身動きが取れなくなるという重要な場面は、力強い比喩となっています。彼の動けなくなることは、不適切に消化された知識の拘束的な性質を意味しています。彼は自身の消費の囚人となり、まさに彼が求めていた情報から恩恵を受けることができなくなります。この出来事は重要な転換点となり、狐は自身の方法の不十分さに直面せざるを得なくなります。

本屋の主人が、本で腹を満たした狐を発見した時の反応もまた重要です。怒ったり罰したりする代わりに、彼は狐にお茶を出し、話を聞きます。この親切と理解の行為は、成長と変化を育む上で共感とつながりの重要性を強調しています。もし本屋の主人が懲罰的なアプローチを選んでいたら、狐は破壊的なサイクルから抜け出せなかったでしょう。この出会いは、真の学びはしばしば支援的で理解のある環境の中で起こることを強調し、人間関係の変革力に光を当てています。

主人のその後の申し出―狐に書店で本を読むことを許可する―は、狐の真の知的、個人的発達の始まりを示しています。彼は文字通り本を食べることから、積極的にその内容と関わることに移行します。この変化は、受動的に情報を受け入れることと、積極的に情報を処理することの重要な違いを表しています。読書は、理解、解釈、内面化のプロセスとなり、真の知識と個人的成長につながります。

最終的に、狐は本の消費者から、その価値の伝達者に変わります。彼は書店を訪れる子供たちに物語を共有し、知識の伝達者となり、他者への読書の愛を育みます。この変化は、知識の社会的な側面を強調しています。真の理解は、個人的な利益のためだけではなく、より大きなコミュニティに共有し、貢献することにもあります。

『本を食べる狐』は、単なる魅力的な子供向けのおとぎ話ではありません。それは、知識の獲得、抑えきれない欲望の危険性、そして人間関係の変革力についての思慮深い探求です。それは、真の学びは単に情報を蓄積するだけでなく、理解し、解釈し、他者と共有することを含むことを私たちに思い出させます。教育と知識の探求の複雑さを乗り越えている高校生として、この物語は、広さよりも深さ、単なる蓄積よりも理解、そして孤立よりもつながりを優先するようにという貴重な教訓を与えてくれます。

2024년 12월 22일 일요일

홍길동전(洪吉童傳) - 허균 (줄거리)

[Google책] 홍길동전

홍길동전 독후감 모음

1

홍길동전은 조선시대 홍 판서의 서자로 태어난 길동이 신분 차별에 고통받다 집을 떠나 도적이 되는 이야기입니다. 뛰어난 도술로 활빈당을 조직하여 탐관오리를 벌하고 백성을 돕던 길동은 나라의 인정을 받아 병조판서가 됩니다. 이후 율도국을 정벌하여 왕위에 오르지만, 아버지의 부음을 듣고 귀국하여 장례를 치른 후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가 왕으로서 나라를 다스립니다.

2

조선 세종 때, 홍 판서의 시비 춘섬에게서 태어난 길동은 얼자라는 신분적 제약 때문에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천대를 받습니다. 총명하고 무예가 뛰어났지만, 길동은 자신을 죽이려는 자객을 피해 집을 떠나 방랑길에 오릅니다. 도적 무리를 만나 그들의 우두머리가 된 길동은 활빈당을 조직하여, 탐관오리의 재물을 빼앗아 가난한 백성들을 돕습니다.

전국적으로 그의 명성이 높아지자 조정에서는 길동을 잡으려 하지만, 신출귀몰한 도술로 번번이 피합니다. 결국 조정은 길동을 회유하기 위해 병조판서 벼슬을 내리고, 길동은 이를 받아들여 도적 생활을 청산합니다.

그러나 여전히 서얼 차별이 존재하는 조선 사회에 환멸을 느낀 길동은 무리를 이끌고 남경으로 떠나, 율도국을 정벌하고 왕이 됩니다. 율도국에서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던 중 아버지 홍 판서의 부음을 듣고 조선으로 돌아와 장례를 치릅니다. 이후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가 왕으로서 어진 정치를 펼치며 태평성대를 이룹니다.



3

조선 세종 때, 명문가의 자제인 홍 판서와 시비 춘섬 사이에서 서자 홍길동이 태어난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도술과 무예에 능했으나, 천한 신분 탓에 멸시와 차별을 받는다. 길동은 자신을 아버지라 부르지도 못하는 현실에 고통스러워하고, 홍 판서의 첩 초란은 길동의 비범함을 시기하여 자객을 보내 살해하려 한다. 위기를 벗어난 길동은 집을 떠나 방랑길에 오르고, 도적 무리의 소굴에 들어가 그들을 제압하고 우두머리가 된다.

길동은 자신의 무리를 '활빈당'이라 이름 짓고, 부패한 관리와 악덕한 부호를 징벌하여 재물을 빼앗아 가난한 백성들에게 나누어 준다. 팔도 곳곳에서 신출귀몰하는 활약으로 그 명성이 전국에 퍼지자, 조정에서는 길동을 잡기 위해 군사를 동원하지만, 뛰어난 도술과 지략으로 매번 위기를 모면한다. 조정은 결국 회유책을 써서 길동에게 병조판서 벼슬을 제수하고, 길동은 이를 수락하여 도적 생활을 청산한다.

그러나 길동은 여전히 서얼 차별이 만연한 조선 사회에 큰 회의를 느낀다. 결국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조선을 떠나 남경으로 향하고, 제도라는 섬에 정착한다. 이후 율도국을 정벌하여 왕위에 오른 길동은 율도국에서 자신의 이상을 펼치며 선정(善政)을 베푼다. 한편, 아버지 홍 판서의 부음을 전해 듣고 조선으로 돌아와 예를 다해 장례를 치른다.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간 길동은 어진 정치로 백성을 다스리며 태평성대를 이룩한다. 길동은 두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전설을 남긴다.


4

조선 세종 때, 명문가 출신인 홍 판서와 그의 시비 춘섬 사이에서 서자 홍길동이 태어난다. 길동은 어려서부터 총명함이 남달랐고, 도술과 무예에도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러나 천한 신분 때문에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이른바 '호부호형'을 하지 못하는 현실에 고통스러워하며, 집안에서도 멸시와 차별을 당한다. 홍 판서의 첩 초란은 비범한 길동을 시기하여 장차 집안에 화근이 될 것이라 여겨 자객을 보내 길동을 살해하려 한다. 그러나 뛰어난 도술로 위기를 모면한 길동은 결국 정든 집을 떠나 방랑길에 오르게 된다.

정처 없이 떠돌던 길동은 우연히 도적 무리의 소굴에 들어가게 되고, 그곳에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여 도적들을 제압하고 그들의 우두머리가 된다. 길동은 무리의 이름을 '활빈당'이라 짓고, 탐관오리와 부패한 양반, 악덕한 부호들을 징벌하기 시작한다. 그들의 재물을 빼앗아 가난하고 억울한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며 의로운 도적으로 이름을 떨친다. 팔도 곳곳에서 신출귀몰하며 활약하는 길동의 명성은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민심은 흉흉해진다.

조정에서는 길동을 잡기 위해 현상금을 걸고 군사를 동원하여 체포 작전을 펼치지만, 길동은 뛰어난 도술과 지략으로 매번 위기를 모면하며 오히려 조정을 조롱한다. 결국 조정은 강경책을 철회하고 회유책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길동에게 병조판서라는 벼슬을 제수하고, 길동은 이를 수락함으로써 기나긴 도적 생활을 청산하게 된다.

그러나 길동은 여전히 서얼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조선 사회에 큰 회의를 느낀다. 병조판서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신분 제도의 벽을 넘을 수 없음을 깨닫는다. 결국 길동은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조선을 떠나기로 결심하고, 배를 타고 남경으로 향한다. 그들은 항해 도중 제도라는 섬에 정착하고, 이후 율도국을 정벌하여 길동이 왕위에 오르게 된다.

율도국의 왕이 된 길동은 그동안 꿈꿔왔던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며 선정(善政)을 베푼다. 한편, 조선에서 아버지 홍 판서가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전해 듣고, 길동은 조선으로 돌아가 예를 다해 장례를 치른다. 상중에 자신의 출생과 관련된 사연을 전해 들은 길동은 가슴 아파하며 율도국으로 돌아가지 않으려 하지만, 형 길현의 간청과 신하들의 충언으로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간다. 이후 율도국에서 어진 정치로 백성들을 다스리며 태평성대를 이룩하고, 훗날 두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준 후 자신은 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전설을 남긴다.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홍길동전 첫 쪽

5

조선 세종 때, 명문가의 자제이자 덕망 높은 문신인 홍 판서와 그의 시비 춘섬 사이에서 서자 홍길동이 태어난다. 길동은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고, 비범한 재주를 지녔다. 특히 도술과 무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장차 큰 인물이 될 자질을 드러냈다. 그러나 천한 신분인 시비의 몸에서 태어난 얼자라는 멍에는 길동에게 큰 굴레이자 고통이었다. 적자와 서얼을 엄격히 구분하는 조선의 신분 사회에서 길동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즉 '호부호형'을 하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뼈저리게 한탄한다. 집안에서도 적자인 형 인형과는 달리 멸시와 차별을 받으며 불행한 유년 시절을 보낸다.

홍 판서의 첩인 초란은 길동의 비범함을 일찍이 알아보고 시기심을 품는다. 장차 길동이 집안에 큰 화근이 될 것이라 여긴 초란은 무녀와 무당을 불러 점을 치고, 길동을 죽여야 집안에 액운을 막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음모를 꾸민다. 결국 전문 자객인 특재를 고용하여 길동을 살해하려 한다. 그러나 길동은 뛰어난 도술로 자객의 위협을 물리치고, 오히려 자객을 이용하여 자신을 죽이려 한 배후가 초란임을 알게 된다. 초란에게 경고를 하고 자신의 생명을 노리는 집을 떠나 방랑길에 오른다.

정처 없이 길을 떠난 길동은 우연히 깊은 산속에서 도적 무리의 소굴을 발견한다. 그곳에서 자신의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도적들을 모두 제압하고, 도적 무리의 새로운 우두머리로 추대된다. 길동은 무리의 이름을 '활빈당'이라 짓고, 탐관오리와 부패한 양반, 악덕한 부호들을 징벌하여 그들의 재물을 빼앗기 시작한다. 빼앗은 재물은 가난하고 억울한 처지에 놓인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며, 의로운 도적으로서 그 이름을 널리 떨친다. 팔도 곳곳에서 신출귀몰하며 활약하는 길동의 명성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민심은 흉흉해지며, 조정은 큰 골칫거리를 얻게 된다.

조정에서는 길동과 활빈당을 잡기 위해 현상금을 걸고 군사를 대대적으로 동원하여 대대적인 체포 작전을 펼친다. 그러나 길동은 신묘한 도술과 뛰어난 지략으로 번번이 포위망을 빠져나가며, 오히려 조정을 조롱한다. 길동은 전국 팔도에 방을 붙여, 자신은 탐관오리를 벌하고 백성을 돕는 의적이며, 자신을 잡으려는 조정을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강경책으로 일관하던 조정은 전략을 바꾸어 회유책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길동에게 병조판서라는 벼슬을 제수하고 그동안의 죄를 사면하겠다고 제안한다. 길동은 고심 끝에 조정의 제안을 수락하고 기나긴 도적 생활을 청산한다.

그러나 길동은 여전히 서얼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조선 사회에 큰 회의를 느낀다. 비록 병조판서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지만, 근본적인 신분 제도의 벽을 넘을 수 없다는 현실에 좌절한다. 결국 길동은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조선을 떠나 새로운 이상향을 건설하기로 결심한다. 배를 타고 남경으로 향하던 그들은 항해 도중 제도라는 섬에 정착하여 그곳을 근거지로 삼는다. 이후 이웃 나라인 율도국을 정벌하여, 길동은 율도국의 새로운 왕으로 즉위한다.

율도국의 왕이 된 길동은 그동안 꿈꿔왔던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며 선정(善政)을 베푼다. 한편, 조선에서 아버지 홍 판서가 세상을 떠났다는 부음을 전해 듣는다. 길동은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조선으로 돌아가 예를 다해 장례를 치른다. 상중에 자신의 출생과 관련된 사연과 어머니 춘섬의 간절한 소망을 전해 듣고는 가슴 아파하며 율도국으로 돌아가지 않으려 하지만, 형 길현의 간청과 신하들의 충언으로 결국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간다. 이후 율도국에서 어진 정치로 백성들을 다스리며 태평성대를 이룩한다. 말년에 길동은 자신의 두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전설을 남긴다.


6

조선 세종 시대, 명망 높은 양반 가문의 자제이자 덕망 높은 문신인 홍 판서와 그의 시비(婢) 춘섬 사이에서 서자 홍길동이 태어난다. 길동은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고, 남다른 기상을 보였다. 특히 도술과 무예에 비범한 재능을 보이며 장차 큰 인물이 될 자질을 드러냈다. 그러나 천한 신분인 시비의 몸에서 태어난 얼자라는 멍에는 길동에게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자 깊은 고통이었다. 적자와 서얼을 엄격히 구분하는, 신분 제도가 견고한 조선 사회에서 길동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이른바 '호부호형(呼父呼兄)'을 하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뼈저리게 한탄한다. 집안에서도 적자인 형 인형과는 달리 온갖 멸시와 차별을 받으며 불행한 유년 시절을 보낸다.

홍 판서의 첩인 초란은 길동의 비범함을 일찍이 알아보고 깊은 시기심을 품는다. 장차 길동이 집안에 큰 화근이 될 것이라 여긴 초란은 무녀와 무당을 불러 점을 치고, 길동을 죽여야 집안에 액운을 막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음모를 꾸민다. 결국 전문 자객인 특재를 고용하여 길동을 살해하려 한다. 그러나 길동은 뛰어난 도술로 자객의 위협을 가볍게 물리치고, 오히려 자객을 이용하여 자신을 죽이려 한 배후가 초란임을 알게 된다. 초란에게 경고를 하고 자신의 생명을 노리는 집을 떠나 정처 없는 방랑길에 오른다.

정처 없이 길을 떠난 길동은 우연히 깊은 산속에서 도적 무리의 소굴을 발견한다. 그곳에서 자신의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도적들을 모두 제압하고, 도적 무리의 새로운 우두머리로 추대된다. 길동은 무리의 이름을 '활빈당(活貧黨)'이라 짓고, 탐관오리와 부패한 양반, 악덕한 부호들을 징벌하여 그들의 재물을 빼앗기 시작한다. 빼앗은 재물은 가난하고 억울한 처지에 놓인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며, 의로운 도적으로서 그 이름을 널리 떨친다. 팔도 곳곳에서 신출귀몰하며 활약하는 길동의 명성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민심은 흉흉해지며, 조정은 큰 골칫거리를 얻게 된다.

조정에서는 길동과 활빈당을 잡기 위해 현상금을 걸고 군사를 대대적으로 동원하여 대대적인 체포 작전을 펼친다. 그러나 길동은 신묘한 도술과 뛰어난 지략으로 번번이 포위망을 빠져나가며, 오히려 조정을 조롱한다. 길동은 전국 팔도에 방을 붙여, 자신은 탐관오리를 벌하고 백성을 돕는 의적이며, 자신을 잡으려는 조정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강경책으로 일관하던 조정은 전략을 바꾸어 회유책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길동에게 병조판서라는 벼슬을 제수하고 그동안의 죄를 사면하겠다고 제안한다. 길동은 고심 끝에 조정의 제안을 수락하고 기나긴 도적 생활을 청산한다.

그러나 길동은 여전히 서얼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조선 사회에 큰 회의를 느낀다. 비록 병조판서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지만, 근본적인 신분 제도의 벽을 넘을 수 없다는 현실에 좌절한다. 결국 길동은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조선을 떠나 새로운 이상향을 건설하기로 결심한다. 배를 타고 남경으로 향하던 그들은 항해 도중 제도라는 섬에 정착하여 그곳을 근거지로 삼는다. 이후 이웃 나라인 율도국을 정벌하여, 길동은 율도국의 새로운 왕으로 즉위한다.

율도국의 왕이 된 길동은 그동안 꿈꿔왔던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며 선정(善政)을 베푼다. 한편, 조선에서 아버지 홍 판서가 세상을 떠났다는 부음을 전해 듣는다. 길동은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조선으로 돌아가 예를 다해 장례를 치른다. 상중에 자신의 출생과 관련된 사연과 어머니 춘섬의 간절한 소망을 전해 듣고는 가슴 아파하며 율도국으로 돌아가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형 길현의 간곡한 청과 신하들의 충심 어린 조언으로 결국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후 율도국에서 어진 정치로 백성들을 다스리며 태평성대를 이룩한다. 길동은 만년에 이르러 자신의 두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신비로운 전설을 남긴다.



7

조선 세종 시대, 명망 높은 양반 가문의 자제이자 덕망 높은 문신인 홍 판서와 그의 시비(婢) 춘섬 사이에서 서자 홍길동이 태어난다. 길동은 용꿈을 꾸고 태어난 아이답게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고, 비범한 기상을 보였다. 특히 도술과 무예에 뛰어난 재능을 보이며 장차 큰 인물이 될 자질을 드러냈다. 그러나 천한 신분인 시비의 몸에서 태어난 얼자라는 멍에는 길동에게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자 깊은 고통이었다. 적자와 서얼을 엄격히 구분하는, 신분 제도가 견고한 조선 사회에서 길동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이른바 '호부호형(呼父呼兄)'을 하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뼈저리게 한탄한다. 집안에서도 적자인 형 인형과는 달리 온갖 멸시와 차별을 받으며 불행한 유년 시절을 보낸다. 길동은 학문에도 뜻을 두었지만, 자신의 신분적 한계에 절망하며, 천한 무예를 익힌다고 집안 어른들에게 꾸지람을 듣기도 한다.

홍 판서의 첩인 초란은 길동의 비범함을 일찍이 알아보고 깊은 시기심을 품는다. 장차 길동이 집안에 큰 화근이 될 것이라 여긴 초란은 무녀와 무당을 불러 점을 치고, 길동을 죽여야 집안에 액운을 막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음모를 꾸민다. 결국 전문 자객인 특재를 고용하여 길동을 살해하려 한다. 그러나 길동은 뛰어난 도술로 자객의 위협을 가볍게 물리치고, 오히려 자객을 이용하여 자신을 죽이려 한 배후가 초란임을 알게 된다. 초란에게 경고를 하고 자신의 생명을 노리는 집을 떠나 정처 없는 방랑길에 오른다.

정처 없이 길을 떠난 길동은 우연히 깊은 산속에서 도적 무리의 소굴을 발견한다. 그곳에서 자신의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도적들을 모두 제압하고, 도적 무리의 새로운 우두머리로 추대된다. 길동은 무리의 이름을 '활빈당(活貧黨)'이라 짓고, 탐관오리와 부패한 양반, 악덕한 부호들을 징벌하여 그들의 재물을 빼앗기 시작한다. 빼앗은 재물은 가난하고 억울한 처지에 놓인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며, 의로운 도적으로서 그 이름을 널리 떨친다. 팔도 곳곳에서 신출귀몰하며 활약하는 길동의 명성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고통받던 백성들은 그를 칭송하고, 민심은 흉흉해지며, 조정은 큰 골칫거리를 얻게 된다.

조정에서는 길동과 활빈당을 잡기 위해 현상금을 걸고 군사를 대대적으로 동원하여 대대적인 체포 작전을 펼친다. 그러나 길동은 신묘한 도술과 뛰어난 지략으로 번번이 포위망을 빠져나가며, 오히려 조정을 조롱한다. 길동은 전국 팔도에 방을 붙여, 자신은 탐관오리를 벌하고 백성을 돕는 의적이며, 자신을 잡으려는 조정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강경책으로 일관하던 조정은 전략을 바꾸어 회유책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길동에게 병조판서라는 벼슬을 제수하고 그동안의 죄를 사면하겠다고 제안한다. 길동은 고심 끝에 조정의 제안을 수락하고 기나긴 도적 생활을 청산한다. 그는 조정에 나아가기 전에 활빈당을 모아 그동안 모은 재물을 가난한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고 해산시킨다.

그러나 길동은 여전히 서얼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조선 사회에 큰 회의를 느낀다. 비록 병조판서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지만, 근본적인 신분 제도의 벽을 넘을 수 없다는 현실에 좌절한다. 결국 길동은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조선을 떠나 새로운 이상향을 건설하기로 결심한다. 배를 타고 남경으로 향하던 그들은 항해 도중 제도라는 섬에 정착하여 그곳을 근거지로 삼는다. 이후 이웃 나라인 율도국을 정벌하여, 길동은 율도국의 새로운 왕으로 즉위한다. 율도국은 요괴들이 자주 출몰하여 백성들의 고통이 심하였는데, 길동은 도술을 써서 요괴들을 물리쳐 율도국에 평화를 가져다 준다.

율도국의 왕이 된 길동은 그동안 꿈꿔왔던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며 선정(善政)을 베푼다. 입헌군주제를 시행하고, 능력 위주로 인재를 등용하는 등 파격적인 개혁을 단행한다. 한편, 조선에서 아버지 홍 판서가 세상을 떠났다는 부음을 전해 듣는다. 길동은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조선으로 돌아가 예를 다해 장례를 치른다. 상중에 자신의 출생과 관련된 사연과 어머니 춘섬의 간절한 소망, 그리고 자신을 아껴주었던 아버지의 진심을 전해 듣고는 가슴 아파하며 율도국으로 돌아가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형 길현의 간곡한 청과 신하들의 충심 어린 조언으로 결국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후 율도국에서 어진 정치로 백성들을 다스리며 태평성대를 이룩한다. 길동은 만년에 이르러 자신의 두 아들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신비로운 전설을 남긴다.


8

조선 세종 시대, 명망 높은 양반 가문의 자제이자 덕망 높은 문신인 홍 판서와 그의 시비(婢) 춘섬 사이에서 서자 홍길동이 태어난다. 길동은 용꿈을 꾸고 태어난 아이답게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였고, 남다른 기상을 보였다. 특히 도술과 무예에 비범한 재능을 보이며 장차 큰 인물이 될 자질을 드러냈다. 그러나 천한 신분인 시비의 몸에서 태어난 얼자라는 멍에는 길동에게 벗어날 수 없는 굴레이자 깊은 고통이었다. 적자와 서얼을 엄격히 구분하는, 신분 제도가 견고한 조선 사회에서 길동은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는, 이른바 '호부호형(呼父呼兄)'을 하지 못하는 자신의 처지를 뼈저리게 한탄한다. 집안에서도 적자인 형 인형과는 달리 온갖 멸시와 차별을 받으며 불행한 유년 시절을 보낸다.

길동은 학문에도 뜻을 두었지만, 자신의 신분적 한계에 절망하며, 천한 무예를 익힌다고 집안 어른들에게 꾸지람을 듣기도 한다. 홍 판서의 첩인 초란은 길동의 비범함을 일찍이 알아보고 깊은 시기심을 품는다. 장차 길동이 집안에 큰 화근이 될 것이라 여긴 초란은 무녀와 무당을 불러 점을 치고, 길동을 죽여야 집안에 액운을 막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음모를 꾸민다. 결국 전문 자객인 특재를 고용하여 길동을 살해하려 한다. 그러나 길동은 뛰어난 도술로 자객의 위협을 가볍게 물리치고, 오히려 자객을 이용하여 자신을 죽이려 한 배후가 초란임을 알게 된다. 초란에게 경고를 하고 자신의 생명을 노리는 집을 떠나 정처 없는 방랑길에 오른다.

정처 없이 길을 떠난 길동은 우연히 깊은 산속에서 도적 무리의 소굴을 발견한다. 그곳에서 자신의 비범한 능력을 발휘하여 도적들을 모두 제압하고, 도적 무리의 새로운 우두머리로 추대된다. 길동은 무리의 이름을 '활빈당(活貧黨)'이라 짓고, 탐관오리와 부패한 양반, 악덕한 부호들을 징벌하여 그들의 재물을 빼앗기 시작한다. 빼앗은 재물은 가난하고 억울한 처지에 놓인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며, 의로운 도적으로서 그 이름을 널리 떨친다. 팔도 곳곳에서 신출귀몰하며 활약하는 길동의 명성은 삽시간에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고통받던 백성들은 그를 칭송하고, 민심은 흉흉해지며, 조정은 큰 골칫거리를 얻게 된다.

조정에서는 길동과 활빈당을 잡기 위해 현상금을 걸고 군사를 대대적으로 동원하여 대대적인 체포 작전을 펼친다. 그러나 길동은 신묘한 도술과 뛰어난 지략으로 번번이 포위망을 빠져나가며, 오히려 조정을 조롱한다. 길동은 전국 팔도에 방을 붙여, 자신은 탐관오리를 벌하고 백성을 돕는 의적이며, 자신을 잡으려는 조정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한다. 결국 강경책으로 일관하던 조정은 전략을 바꾸어 회유책을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길동에게 병조판서라는 벼슬을 제수하고 그동안의 죄를 사면하겠다고 제안한다. 길동은 고심 끝에 조정의 제안을 수락하고 기나긴 도적 생활을 청산한다. 그는 조정에 나아가기 전에 활빈당을 모아 그동안 모은 재물을 가난한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고 해산시킨다.

그러나 길동은 여전히 서얼에 대한 차별이 만연한 조선 사회에 큰 회의를 느낀다. 비록 병조판서라는 높은 벼슬에 올랐지만, 근본적인 신분 제도의 벽을 넘을 수 없다는 현실에 좌절한다. 결국 길동은 자신을 따르는 무리와 함께 조선을 떠나 새로운 이상향을 건설하기로 결심한다. 배를 타고 남경으로 향하던 그들은 항해 도중 제도라는 섬에 정착하여 그곳을 근거지로 삼는다. 이후 이웃 나라인 율도국을 정벌하여, 길동은 율도국의 새로운 왕으로 즉위한다. 율도국은 요괴들이 자주 출몰하여 백성들의 고통이 심하였는데, 길동은 도술을 써서 요괴들을 물리쳐 율도국에 평화를 가져다 준다.

율도국의 왕이 된 길동은 그동안 꿈꿔왔던 이상적인 정치를 펼치며 선정(善政)을 베푼다. 입헌군주제를 시행하고, 능력 위주로 인재를 등용하는 등 파격적인 개혁을 단행한다. 또한, 조선의 신분제 사회와는 다르게 능력에 따라 인재를 등용하고, 백성들의 억울함을 풀어주는 등 어진 정치를 펼쳐 율도국을 태평성대로 이끈다.

한편, 조선에서 아버지 홍 판서가 세상을 떠났다는 부음을 전해 듣는다. 길동은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조선으로 돌아가 예를 다해 장례를 치른다. 상중에 자신의 출생과 관련된 사연과 어머니 춘섬의 간절한 소망, 그리고 자신을 아껴주었던 아버지의 진심을 전해 듣고는 가슴 아파하며 율도국으로 돌아가지 않으려 한다. 그러나 형 길현의 간곡한 청과 신하들의 충심 어린 조언으로 결국 다시 율도국으로 돌아가게 된다.

율도국으로 돌아온 길동은 더욱 정치에 정진하여 율도국을 부강한 나라로 만든다. 그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법을 제정하고,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힘쓴다. 또한, 주변국들과의 외교 관계에도 능숙하여 율도국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만년에 이르러 길동은 자신의 두 아들, 현과 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자신은 산으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신비로운 전설을 남긴다. 율도국의 백성들은 길동의 어진 정치와 업적을 기리며 오랫동안 그를 칭송하였다. 길동의 이야기는 후대에까지 전해져, 조선 시대 억압받는 민중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는 영웅담으로 자리 잡게 된다.

옥상의 민들레꽃 - 박완서

  [Google책] 옥상의 민들레꽃

줄거리

안녕! 오늘은 박완서 작가님의 「옥상의 민들레꽃」 이야기를 들려줄게. 이 이야기는 겉으로는 번듯해 보이는 ‘궁전 아파트’라는 곳에서 일어난 두 할머니의 안타까운 사건과, 그 속에서 피어난 작은 희망에 대한 이야기야. 마치 우리 주변에서 일어날 법한 현실적인 이야기라서 더 마음이 쓰일 거야.

이야기는 궁전 아파트에서 두 할머니가 잇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으로 시작해. 궁전 아파트는 이름처럼 모두가 부러워하는 좋은 아파트인데, 그런 곳에서 끔찍한 일이 벌어진 거지. 아파트 주민들은 이 일 때문에 아파트 값이 떨어질까 봐 걱정하며 대책 회의를 해. 하지만 사람들은 진정으로 할머니들의 아픔을 이해하려 하기보다는, 자신들의 이익에만 관심을 두는 모습을 보여줘. 마치 중요한 무언가를 잃어버린 것처럼 말이야.

이 이야기의 중심에는 ‘나’라는 아이가 있어. ‘나’는 어른들의 그런 모습에 의문을 느껴. 어른들은 왜 이렇게 물질적인 것에만 집착하는 걸까? 왜 다른 사람의 아픔을 진심으로 헤아리지 못하는 걸까? ‘나’는 예전에 자신도 힘든 시기를 겪었었고, 그때 옥상에서 우연히 발견한 민들레꽃을 보고 큰 위로를 받았던 기억을 떠올려. 척박한 환경 속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난 민들레꽃이 ‘나’에게 살아갈 용기를 주었던 거지.

그래서 ‘나’는 어른들에게 아주 특별한 제안을 해. 바로 아파트 옥상에 민들레꽃을 심자는 거야. ‘나’에게 민들레꽃이 희망을 주었듯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민들레꽃이 위로와 희망을 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지. ‘나’의 생각은 어른들에게는 다소 엉뚱하게 들렸을지도 몰라. 하지만 ‘나’는 진심을 다해 어른들을 설득해.

‘나’의 제안을 통해 어른들은 비로소 자신들이 잊고 있었던 중요한 가치를 깨닫게 돼. 바로 사람 사이의 따뜻한 마음,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이야. 겉으로 보이는 화려함보다 내면의 아름다움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물질적인 가치보다 인간적인 가치가 더 소중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거지.

이야기 속에서 민들레꽃은 단순한 꽃 이상의 의미를 지녀.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나는 민들레꽃은 힘든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강인함을 상징해. 또한, 서로를 보듬고 이해하는 따뜻한 마음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역할도 해.

이 소설은 우리에게 많은 질문을 던져. 우리는 무엇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겉으로 보이는 것만이 전부일까? 다른 사람의 아픔을 진심으로 공감하고 있을까? 혹시 물질적인 것에만 너무 집착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옥상의 민들레꽃」은 단순히 슬픈 이야기만은 아니야. 어두운 현실 속에서도 희망을 발견하고, 작은 것에서 큰 의미를 찾아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야기야. ‘나’라는 아이의 순수한 마음과 용기가 어른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세상을 조금이나마 더 따뜻하게 만들었다는 점에서, 우리에게 큰 감동과 여운을 남겨.

이 이야기를 읽고 나면, 우리 주변의 작은 것들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될 거야. 길가에 핀 작은 꽃 한 송이, 무심코 지나쳤던 이웃의 미소, 이런 작은 것들 속에서 우리는 큰 행복과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하길 바라. 그리고 다른 사람의 아픔을 함께 나누고, 따뜻한 마음을 전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일인지도 생각해 보길 바라.

이 이야기가 네 마음속에 작은 씨앗 하나를 심어주었으면 좋겠어. 그 씨앗이 자라서 따뜻한 마음과 세상을 향한 긍정적인 시선으로 꽃피우기를 응원할게!

1

박완서 작가님의 「옥상의 민들레꽃」을 읽고 나서, 마음속에 여러 가지 생각들이 맴돌았어. 마치 옥상에서 바람에 흔들리는 민들레 홀씨처럼, 여러 감정들이 뒤섞여서 쉽게 정리되지 않았거든. 이 이야기는 단순히 슬픈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모습과 사람들의 마음을 되돌아보게 하는 깊은 울림을 주는 작품이었어.

이야기는 궁전 아파트에서 두 할머니가 잇따라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으로 시작돼. ‘궁전 아파트’라는 이름과는 달리, 그곳에는 슬픔과 아픔이 가득했지. 아파트 주민들은 이 사건 때문에 아파트 값이 떨어질까 봐 걱정하는 모습만 보여줬어. 마치 사람이 먼저가 아니라, 돈이 먼저인 것처럼 느껴져서 씁쓸했어. 어른들은 왜 이렇게 물질적인 것에만 집착하는 걸까? 왜 다른 사람의 고통에는 무관심한 걸까? 이런 생각들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어.

‘나’라는 아이는 어른들과는 달랐어. ‘나’는 예전에 힘들었던 시기에 옥상에서 민들레꽃을 보고 위로를 받았던 기억을 떠올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난 민들레꽃은 ‘나’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지. 그래서 ‘나’는 어른들에게 옥상에 민들레꽃을 심자는 제안을 해. 어른들은 ‘나’의 제안을 처음에는 이상하게 생각했지만, ‘나’의 진심에 조금씩 마음을 열기 시작해.

‘나’의 눈에 비친 어른들의 모습은 안타까웠어. 겉으로는 화려하고 풍족해 보이지만, 마음속은 텅 비어 있는 것처럼 느껴졌거든.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 따뜻한 인간애를 잃어버린 것 같았어. 마치 껍데기만 남은 과일처럼 말이야. 하지만 ‘나’의 순수한 마음과 용기가 어른들의 마음을 조금씩 변화시키기 시작해. 민들레꽃을 심는 행위를 통해, 어른들은 잊고 있었던 소중한 가치를 되찾게 되는 거야.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 자신에 대해서도 많은 생각을 하게 되었어. 나는 무엇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을까? 혹시 나도 모르게 물질적인 것에만 너무 집착하고 있는 건 아닐까? 다른 사람의 아픔을 진심으로 공감하고 있을까? 이런 질문들을 스스로에게 던져보았어.

‘나’에게 민들레꽃은 단순한 꽃이 아니었어. 희망과 용기, 그리고 따뜻한 마음을 상징하는 존재였지.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나는 민들레꽃처럼, 우리도 힘든 상황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살아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았어. 또한, 서로를 보듬고 이해하는 따뜻한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깨닫게 해 주었어.

이 소설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희망의 메시지도 전달하고 있어. ‘나’라는 아이의 작은 행동이 어른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세상을 조금이나마 더 따뜻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거야. 우리 주변의 작은 것들, 예를 들어 길가에 핀 꽃 한 송이, 이웃의 따뜻한 말 한마디, 이런 작은 것들 속에서 우리는 큰 행복과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어.

「옥상의 민들레꽃」은 나에게 큰 감동과 여운을 남겼어. 이 이야기를 통해, 나는 앞으로 다른 사람의 아픔을 더 깊이 공감하고,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했어. 그리고 세상을 좀 더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보는 연습을 해야겠다고 생각했어. 마치 ‘나’처럼, 나 또한 누군가에게 작은 희망과 위로를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면서 말이야. 이 책을 읽게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2

우리 아파트, 궁전 아파트에는 슬픈 일이 두 번이나 있었어. 칠 층 베란다에서 할머니 두 분이 돌아가신 거야. 실수로 떨어진 게 아니라, 스스로 목숨을 끊으신 거라니 정말 마음이 아팠어.

아파트는 멋있어 보이지만, 슬픔을 막아주지는 못했어. 어른들은 이 일 때문에 아파트 값이 떨어질까 봐 걱정만 했지, 할머니들이 왜 그런 선택을 하셨는지 정말로 궁금해하는 사람은 별로 없어 보였어. 마치 돈이 사람보다 더 중요한 것처럼 생각하는 것 같아서 속상했어.

나도 예전에 힘든 적이 있었어. 그때 우연히 아파트 옥상에서 민들레꽃을 봤는데, 그 작은 꽃이 나에게 큰 힘을 줬어. 시멘트 틈에서 꿋꿋하게 피어 있는 민들레를 보니까, 나도 힘을 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거든.

그래서 나는 어른들에게 특별한 제안을 했어. “우리, 옥상에 민들레꽃을 심어요!” 하고 말이야. 내가 민들레를 보고 힘을 얻었던 것처럼, 다른 사람들도 민들레를 보면서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

어른들은 내 말을 처음에는 이상하게 생각했어. 하지만 나는 진심을 담아 어른들에게 이야기했어. 할머니들이 왜 힘드셨는지,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건 서로를 아끼고 이해하는 마음이라는 것을 말이야.

내 생각에, 어른들은 중요한 걸 잊고 사는 것 같았어. 겉으로는 좋은 아파트에 살면서 부러움을 사지만, 마음속은 외롭고 슬픈 사람들이 많았던 거야. 서로 따뜻하게 대해주고, 힘든 일을 함께 나누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 잊어버린 것 같았어.

이야기 속에서 민들레는 특별한 의미를 가지고 있어. 척박한 곳에서도 씩씩하게 피어나는 민들레처럼, 우리도 어떤 어려움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아. 그리고 서로를 아끼고 도와주는 따뜻한 마음이 얼마나 중요한지도 알려주는 것 같아.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도 주변 사람들을 더 잘 살펴봐야겠다고 생각했어. 혹시 힘든 사람은 없는지, 내가 도와줄 일은 없는지 말이야. 그리고 나도 민들레처럼 씩씩하게, 그리고 따뜻한 마음을 가진 사람으로 자라야겠다고 다짐했어.

「옥상의 민들레꽃」은 슬픈 이야기지만, 희망을 주는 이야기이기도 해. 작은 민들레꽃처럼, 우리도 작은 힘으로 세상을 조금 더 따뜻하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이야기야.

이 이야기가 너희들에게도 작은 씨앗이 되었으면 좋겠어. 그 씨앗이 자라서 따뜻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예쁜 꽃을 피우기를 바라!

3

박완서의 「옥상의 민들레꽃」은 단순한 아파트의 비극을 넘어, 현대 사회의 단면과 인간 소외, 그리고 그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을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특히 이 작품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한 사회 속에서 잊혀져 가는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되돌아보게 한다는 점에서 깊은 의미를 지닙니다.

이야기는 ‘궁전 아파트’라는 상징적인 공간에서 시작됩니다. ‘궁전’이라는 화려한 이름과는 달리, 그곳은 두 할머니의 잇따른 자살이라는 비극을 겪습니다. 이 사건은 겉으로는 번듯해 보이는 현대 사회의 이면, 즉 물질적인 풍요 속에 가려진 인간의 고독과 절망을 드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아파트 주민들은 이 사건을 자신들의 재산 가치 하락과 연결 지어 생각하며, 진정으로 고인들의 아픔을 헤아리려 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이기주의와 물질만능주의에 물든 현대 사회의 차가운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어른들의 모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것은 바로 ‘나’라는 인물입니다. ‘나’는 과거 힘든 시기에 옥상에서 우연히 발견한 민들레를 통해 위로를 받았던 경험을 떠올립니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이 피어나는 민들레의 생명력은 ‘나’에게 큰 감동과 희망을 주었던 것입니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나’는 어른들에게 옥상에 민들레를 심자는 제안을 합니다.

‘나’의 제안은 단순히 꽃을 심자는 행위를 넘어, 잃어버린 인간성을 회복하고 공동체의 의미를 되살리자는 외침과 같습니다. ‘나’에게 민들레는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강인함, 그리고 서로를 보듬고 위로하는 따뜻한 마음을 상징합니다. ‘나’의 순수한 마음과 용기는 메말라 있던 어른들의 마음에 작은 파동을 일으키고, 그들은 점차 자신들이 잊고 있었던 소중한 가치를 되돌아보게 됩니다.

이 작품은 청소년들에게 다음과 같은 중요한 질문들을 던집니다. 우리는 무엇을 가치 있게 여기며 살아가고 있는가? 물질적인 풍요가 진정한 행복을 보장하는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함께 아픔을 나눌 수 있는가? ‘나’의 행동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제시합니다. 즉, 물질적인 가치보다 인간적인 가치를 우선시하고, 서로를 이해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질 때 진정한 행복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옥상의 민들레꽃」은 어두운 현실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희망의 빛을 발견하게 하는 작품입니다. ‘나’라는 인물의 순수한 마음과 용기는 어른들의 마음을 움직이고, 작은 변화를 만들어냅니다. 이는 개인의 작은 행동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우리 모두가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는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키우고, 인간의 존엄성과 공동체의 가치를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또한, 작은 희망의 씨앗을 발견하고 키워나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됩니다. 이 이야기가 여러분에게도 깊은 울림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하기를 바랍니다.

4

박완서의 「옥상의 민들레꽃」은 단순히 아파트에서 벌어진 연이은 자살 사건을 넘어,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 속에서 인간 소외 현상이 심화되는 현대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날카롭게 포착한 작품입니다. 이 작품은 물질만능주의의 폐해, 공동체 의식의 붕괴, 그리고 그 속에서 희망을 모색하는 인간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내며 독자에게 깊은 성찰을 요구합니다.

‘궁전 아파트’는 이 소설의 중요한 상징적 공간입니다. ‘궁전’이라는 이름은 물질적 풍요와 성공을 갈망하는 현대인의 욕망을 반영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곳은 두 할머니의 자살이라는 비극의 무대가 됩니다. 이는 물질적 풍요가 인간의 내면적 공허와 고독을 채워줄 수 없음을 역설적으로 보여줍니다. 아파트 주민들의 반응 역시 주목할 만합니다. 그들은 고인들의 아픔을 진심으로 애도하기보다는 아파트 가격 하락을 우려하며 대책 회의를 여는 데 급급한 모습을 보입니다. 이는 공동체 의식의 붕괴와 개인주의의 심화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로, 현대 사회의 냉정한 현실을 반영합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라는 어린 화자는 어른들과는 다른 시각으로 사건을 바라봅니다. ‘나’는 과거 자신의 힘든 시기에 옥상에서 만난 민들레를 통해 위로받았던 경험을 떠올리며, 어른들에게 옥상에 민들레를 심자는 제안을 합니다. 이 제안은 단순한 조경 사업을 넘어, 잃어버린 인간성을 회복하고 공동체적 유대를 복원하려는 시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민들레는 이 작품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닙니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나는 민들레의 강인한 생명력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내면적 힘을 상징합니다. 또한, 민들레가 씨앗을 퍼뜨려 번식하는 모습은 나눔과 공존이라는 공동체적 가치를 암시합니다. ‘나’가 민들레를 통해 위로를 받았듯이, 다른 사람들도 민들레를 보며 희망을 발견하고 서로에게 따뜻한 마음을 나눌 수 있기를 바라는 것입니다.

이 작품은 고등학생 독자들에게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집니다. 현대 사회에서 진정한 행복의 의미는 무엇인가? 물질적 풍요는 인간의 삶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가? 공동체 의식의 부재는 개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우리는 어떻게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고 함께 아픔을 나눌 수 있는가? ‘나’의 행동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하나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즉, 물질적 가치에 매몰되지 않고 인간적인 가치를 회복하며, 서로 소통하고 연대하는 공동체적 삶을 지향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옥상의 민들레꽃」은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작은 희망의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나’의 순수한 마음과 용기는 삭막한 현실에 작은 파문을 일으키고, 어른들의 마음속에 잠재된 인간성을 일깨웁니다. 이는 개인의 작은 실천이 사회 변화의 씨앗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우리 모두가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는 데 동참할 수 있다는 희망을 전달합니다. 이 작품을 통해 독자들은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인간다운 삶의 가치에 대해 깊이 고민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5

박완서의 「옥상의 민들레꽃」은 현대 사회의 구조적 문제점을 내포한 작품이다. 고층 아파트라는 제한된 공간을 배경으로 전개되는 일련의 사건들을 통해, 물질만능주의의 심화, 공동체 의식의 붕괴, 그리고 그로 인한 인간 소외 현상을 심도 있게 조명한다. 특히, 오랜 사회 경험과 조직 생활을 통해 사회의 다양한 면면을 경험한 중년 남성 독자에게 이 작품은 현실적인 문제의식을 제기한다.

작품의 주된 배경인 ‘궁전 아파트’는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내포한다. ‘궁전’이라는 명칭은 외형적인 풍요와 사회적 성공을 암시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두 할머니의 잇따른 자살이라는 비극의 현장이 된다. 이는 물질적인 풍요가 인간의 내면적 결핍을 충족시키지 못함을 역설적으로 드러낸다. 외형적인 번영 뒤에 숨겨진 인간의 고독과 절망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설정은 물질 중심적 가치관이 지배하는 현대 사회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한다.

아파트 주민들의 반응 역시 주목할 만하다. 연이은 죽음이라는 비극적인 상황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고인의 아픔을 진정으로 애도하기보다는 자신들의 경제적 손실을 우려하는 데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공동체 의식의 부재와 개인주의의 심화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다. 조직 내의 협력과 공동 목표 달성을 중시하는 조직 문화에 익숙한 독자라면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 유대의 약화와 인간성의 상실을 목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라는 어린 화자의 시선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나’는 과거 힘든 시기에 옥상에서 민들레를 통해 위안을 받았던 경험을 회상하며, 어른들에게 옥상에 민들레를 심자는 제안을 한다. 이 제안은 단순한 조경 사업을 넘어, 잃어버린 인간성을 회복하고 단절된 관계를 복원하려는 의지를 드러내는 행위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효율성과 성과 중심의 조직 문화에 익숙한 독자에게 ‘나’의 제안은 인간적인 가치와 정서적 교류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품에서 민들레는 중요한 상징적 기능을 수행한다. 척박한 환경에서도 꿋꿋하게 피어나는 민들레의 강인한 생명력은 절망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인간의 내면적 힘을 상징한다. 또한, 씨앗을 퍼뜨려 번식하는 민들레의 모습은 나눔과 공존이라는 공동체적 가치를 은유적으로 보여준다. ‘나’의 행위는 개인의 작은 실천이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다.

「옥상의 민들레꽃」은 비극적인 사건을 통해 현대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드러내지만, 동시에 희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나’의 순수한 마음과 용기는 주변 사람들에게 미세한 변화를 일으키고, 잊혀졌던 인간성을 일깨우는 촉매제 역할을 한다. 이는 개인의 작은 행동이 사회 변화의 단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더 나은 사회를 구축하는 데 개인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조직 생활을 통해 리더십과 책임감을 체득한 독자에게 이 작품은 조직 및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리더의 역할에 대한 함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작품은 개인의 삶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 대한 심도 있는 성찰을 유도한다.

이해의 선물 - 폴 빌리어드(Paul Villiard)

 [Google책] 이해의 선물

1

오늘 읽은 「이해의 선물」은 짧지만 마음속 깊은 곳에 따뜻함을 남겨주는 이야기였어요. 마치 할머니가 들려주시는 옛날이야기처럼 포근하고, 읽고 나니 기분 좋은 미소가 지어졌어요.

이 책은 어린 시절 '나'가 겪었던 사탕 가게에서의 에피소드를 통해 '이해'라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지를 보여주고 있어요. 네 살배기 '나'는 사탕 가게에서 갖고 싶은 사탕을 고르고, 그 값으로 주머니에 있던 버찌 씨앗을 내밀었어요. 어른들의 눈에는 말도 안 되는 행동이었지만, 사탕 가게 주인 위그든 씨는 '나'의 순수한 마음을 이해하고 사탕을 건네주었죠. 

'나'는 위그든 씨의 따뜻한 마음 덕분에 상처받지 않고 행복한 기억을 간직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시간이 흘러 어른이 된 '나'는 위그든 씨와 똑같은 상황에 놓이게 돼요. 어린 남매가 사탕 값으로 조약돌을 내미는 모습을 보면서, '나'는 어린 시절의 자신을 떠올렸고, 위그든 씨처럼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을 이해하며 사탕을 선물했죠.

이 책을 읽으면서 어른들의 이해심이 아이들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주는지 알게 되었어요. 만약 위그든 씨가 '나'를 꾸짖거나 비웃었다면 '나'는 큰 상처를 받았을 거예요. 어쩌면 세상에 대한 불신과 두려움을 갖게 되었을지도 몰라요. 하지만 위그든 씨는 '나'의 순수한 마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고, 따뜻한 미소로 사탕을 건네주었어요. 덕분에 '나'는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갖고 성장할 수 있었죠.

저도 주변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친구가 힘들어 보이면 먼저 다가가서 이야기를 들어주고, 어른들의 말씀에 귀 기울여야겠어요.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함부로 판단하기보다는 그 이유를 먼저 생각해 봐야겠어요.

「이해의 선물」은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따뜻한 마음과 이해심을 알려주는 책이에요. 이 책을 읽고 나니 마음이 따뜻해지고, 세상을 더욱 긍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되었어요.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서로를 이해하며 살아가는 세상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2

솔직히 말하면 처음에 이 책 제목을 봤을 때 좀 유치하다고 생각했어. 「이해의 선물」이라니, 뭔가 뻔하고 교훈적인 이야기일 것 같았거든. 게다가 표지 그림도 좀 촌스러워 보였고. 하지만 막상 읽어보니 생각보다 훨씬 재밌었어. 뭔가 찡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느낌이었다.

이 책은 주인공이 어렸을 때 사탕 가게에서 겪었던 일을 회상하는 이야기야. 네 살 때니까, 완전 꼬맹이였지. 주인공은 사탕 가게에 가서 엄청 먹고 싶은 사탕을 발견했는데, 돈이 없었어. 그래서 주머니에 있던 버찌 씨앗을 사탕 가게 주인 할아버지에게 내밀었지. 지금 생각해 보면 완전 황당한 일인데, 그때는 진짜 버찌 씨앗이 돈처럼 느껴졌나 봐.

근데 신기하게도 사탕 가게 주인 할아버지는 화를 내거나 비웃지 않았어. 오히려 친절하게 웃으면서 사탕을 주셨지. 어린 마음에도 그때 그 할아버지의 따뜻한 눈빛이 잊혀지지 않았어. 덕분에 사탕을 훔친 것처럼 죄책감을 느끼거나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아도 됐지.

시간이 흘러 주인공은 어른이 되었고, 자기도 모르게 그 할아버지와 똑같은 행동을 하게 돼. 어린 남매가 열대어를 사려고 하는데, 돈이 부족해서 조약돌을 내미는 거야. 그 모습을 보는 순간 어린 시절의 자신이 떠올랐고, 주인공은 망설임 없이 아이들에게 열대어를 선물했어. 마치 그 할아버지가 자신에게 그랬던 것처럼 말이야.

이 책을 읽으면서 '이해'라는 게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어. 만약 그때 사탕 가게 주인 할아버지가 나를 혼냈다면, 나는 아마 큰 상처를 받았을 거야. 그리고 어른이 되어서도 다른 사람들을 믿지 못하고, 세상을 무서운 곳이라고 생각했을지도 몰라. 하지만 할아버지의 따뜻한 이해 덕분에 나는 세상에 대한 믿음을 갖고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었던 것 같아.

나도 앞으로 다른 사람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어. 친구가 힘들어 보이면 먼저 다가가서 이야기를 들어주고, 어른들의 말씀에도 귀 기울여야지. 그리고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함부로 판단하기보다는,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먼저 생각해 봐야겠어.

「이해의 선물」은 짧은 이야기지만,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하는 책이야. 이해심, 배려, 그리고 따뜻한 마음. 이런 것들이 세상을 더 살기 좋은 곳으로 만드는 것 같아. 모든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서로를 이해하며 살아갔으면 좋겠다.


3

어릴 적 읽었던 동화를 다시 꺼내 읽는다는 건, 마치 잊고 있던 보물 상자를 여는 것과 같다. 빛바랜 기억 속에서 반짝이는 순간들을 마주하며, 그 시절의 나와 지금의 나를 이어주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폴 빌라드의 「이해의 선물」은 바로 그런 경험을 안겨준 작품이다. 

이 책은 네 살배기 아이의 시선으로 그려진 '이해'에 대한 이야기이다. 주인공 아이는 사탕 가게에서 갖고 싶은 사탕을 고르고, 그 값으로 주머니 속 버찌 씨앗을 내민다. 아이에게는 세상의 모든 것이 신기하고, 버찌 씨앗 또한 사탕과 교환할 수 있는 가치 있는 물건으로 여겨졌을 것이다. 어른들의 눈에는 단순히 철없는 행동으로 보일 수 있지만, 아이의 순수한 마음과 세상에 대한 맑은 시선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사탕 가게 주인 위그든 씨는 아이의 행동을 나무라거나 비웃지 않는다. 오히려 아이의 순수함을 지켜주고, 따뜻한 미소로 사탕을 건네준다. 위그든 씨의 이러한 행동은 단순한 친절을 넘어, 아이의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심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만약 위그든 씨가 아이를 꾸짖거나 무시했다면, 아이는 세상에 대한 불신과 상처를 안고 성장했을지도 모른다. 

시간이 흘러 어른이 된 주인공은 어린 시절 위그든 씨에게 받았던 '이해의 선물'을 떠올리며, 자신 또한 다른 사람의 순수함을 지켜주는 존재가 되어야 함을 깨닫는다. 어린 남매가 조약돌을 내밀며 열대어를 사려는 모습에서 과거의 자신을 발견하고, 위그든 씨처럼 따뜻한 마음으로 아이들을 대한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경험을 재현하는 것이 아니라, '이해'의 의미를 진정으로 받아들이고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해의 선물」은 짧지만 깊은 여운을 남기는 작품이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고 배려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깨닫게 된다. 또한, 세상의 모든 존재는 각자의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그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것이 진정한 '이해'임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읽고 나니, 나의 주변 사람들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된다. 내가 무심코 던진 말이나 행동이 누군가에게는 상처가 될 수도 있음을 기억하고, 항상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행동해야겠다고 다짐한다. 세상을 향한 따뜻한 시선과 이해심을 잃지 않도록, 나 또한 누군가에게 '이해의 선물'을 건넬 수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란다.

샬롯의 거미줄 - 엘윈 브룩스 화이트

[Daum책] 샬롯의 거미줄 http://durl.me/2g6ko

1

샬롯에게
안녕 난 -----초등학교--학년--반---야.

나는 이 책을 읽고 네가 한 일에 감동했어.

네 자신을 희생하면서 친구인 윌버를 구하려는 마음에 너무 감동했고, 나도 너를 본받아서 친구들을 잘 도와 주고 나 자신만 생각하지 않을 거야. 처음에 윌버를 만나서 거미줄에 '대단한 돼지'라고 썼을 땐 정말 바보 같다고 생각했지만 윌버를 구하려는 너의 소중한 마음씨에 감동해서 그런 생각은 잊었어.

비록 책에선 죽었지만 너는 윌버의 마음속에 영원히 남아 있을 거야.

2

윌버(돼지)은 원래 죽어야 했을 돼지다. 하지만 동물의 소중함을 느낀 펀은 아빠의 도끼질을 막아 준다. 그래서 윌버는 펀을 정말 좋아한다.

어느 날 펀의 부모님은 윌버를 주커만 부인에게 6달러로 팔기로 했고, 주커만 부인네로 옮겨 졌다. 처음에 윌버는 탈출 시도를 했지만 다시 잡혀 가서 주커만 부인네로 간다. 하면서 윌버는 샬롯이라는 거미 친구를 만나 여러 가지 대화로 친한 친구가 된다.

어느 날 윌버는 주커만 가족이 윌버를 베이컨으로 잡아먹는다고 소식에 깜짝 놀라고 윌버는 거미 샬롯에게 도움을 청한다. 그래서 샬롯은 '근사해, 대단한 돼지'등 여러 가지 말들을 거미줄에 넣었다. 그걸 본 주커만가족은 놀라게 되고 여러 사람들이 농장에 찾아왔다.

마지막에 샬롯은 친한 친구에게 작별 인사를 하며 알을 낳고 죽는다. 윌버는 그 알을 맨날 잘 보살핀다.

어느 날 알이 깨지고 거미 수만 마리가 버리에게 찾아와서 '고맙습니다 아저씨'하고 농장 밖으로 날아서 떠난다. 윌버는 다들 떠나서 슬퍼하지만 조금 있다가 거미 몇 마리가 남아서 윌버를 즐겁게 해 준다.

3

나는 심심풀이로 문제를 풀다가 이 책의 제목과 똑같은 책을 찾게 되어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은 윌버라는 돼지와 샬롯이라는 거미가 꾸미는 이야기다. 이 책을 고른 이유는 샬롯의 거미줄 (2)에 있는데, 윌버가 원래 무녀리였지만 펀이라는 아이가 그 돼지의 주인인 아빠가 무녀리라서 죽이려 하자 펀이 아빠께 인상적인 말을 말하고 그 무녀리 돼지를 살렸다.

그리고 그 돼지의 일생이 시작되는데 샬롯이라는 거미를 만난다. 그 거미랑 이야기를 나누다 돼지인 윌버가 샬롯의 모습을 보게 되는데 윌버가 충격을 받게 된다.

하지만 샬롯은 시간이 흐르면서 샬롯을 오해하였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그리고 끝까지 의리를 지켰고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

윌버는 무럭무럭 자라고 있는데 샬롯이 한말을 하게 된다.
"사람들이 왜 너를 살찌우고 있는지 아니?" / "아니"
"사람들이 널 죽이려고 찌우는 거야."

그래서 샬롯이 윌버를 구해 주기로 약속했다. 여기서 이유가 나오는데 진짜 친구의 우정이 여기 내용에 나와 진짜 친구의 우정이 뭔지를 알게 되었다.

4

윌버는 형제 중에서 가장 작다는 이유로 태어나자마자 죽을 뻔했지만 펀이 살려 주었다. 그 후 윌버는 많이 먹어서 몸집이 커졌다. 윌버는 우리에서 샬롯이라는 거미를 친구로 만든다. 윌버는 자신이 크리스마스에 햄이 될 것이라는 이야기를 듣는다.

윌버는 절망한다. 하지만 샬롯이 윌버를 살려 주겠다고 약속한다.

샬롯은 우리 구석에 대단한 돼지라고 적는다. 윌버는 순식간에 유명해 진다. 샬롯은 근사해 라고 거미줄에 다시 글을 썼다. 윌버는 품평회에 가기로 했다. 윌버는 품평회에 가기 전 우유 목욕을 했다. 우유 목욕을 한 후 윌버는 품평회에 간다. 윌버는 품평회에서 우승을 한다. 샬롯은 알을 낳는다. 품평회가 끝나고 돌아오는 길에 샬롯을 어쩔 수 없이 두고 왔다.

샬롯의 알이 부화했다. 많은 새끼 거미들이 나왔다. 세 마리 빼고 모두 떠났다. 그 세 마리는 윌버의 새 친구가 되었다. 그 거미들은 조이, 에이라니아, 넬리였다. 이제 윌버와 조이, 에이라니아, 넬리는 친구가 될 것이다. 그리고 윌버는 햄이 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진정한 친구를 사귀어야겠다.

5

처음 어떤 돼지는 돼지 형제들 중에서 가장 작다는 이유만으로 태어나자 마자 죽을 뻔했는데 펀의 도움으로 간신히 살아남는다. 펀은 돼지를 윌버라고 지어 주고 열심히 키웠다.

하지만 아빠의 말씀은 윌버가 크면 더 이상 여기에 있을 수 없다고 해서 결국 주커만씨의 농장으로 가게 되었다. 아름다운 자연과 맛있는 먹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윌버가 외로운 것은 진정한 친구를 만나지 못했기 때문이다.

어느 날 윌버에게 찾아온 거미 샬롯은 세상에서 가장 다정한 말 한마디를 건넨다.
"내가 네 친구가 되어 줄게." 윌버는 새 친구와 함께 행복한 나날을 보낸다.

그러나 어느 날 윌버는 양에게 크리스마스에 자기가 햄으로 만들어 진다는 엄청난 소식을 듣고는 윌버는 불행한 나날을 보내려고 했다. 그런 윌버에게 샬롯은 윌버에게 지켜 준다고 한다.그날 이후 샬롯은 거미줄을 쳤고, 거미줄에 '대단한 돼지' 라고 쓴다. 그 후 윌버는 유명해 지고, 주인은 윌버를 죽이지 않는다.

윌버는 돼지 대회에서 상도 받아 살게 되어 기뻤지만 샬롯은 늙고 거미줄에 글씨를 쓰는데 너무 힘을 써 버려서 결국에는 죽게 된다. 윌버도 늙었을 때 샬롯의 자식들을 보게 되고, 친구가 되었다.

나는 이 샬롯의 거미줄을 읽고 우정이 얼마나 중요하고 소중한지를 깨달았다. 그리고 나도 친구가 어려운 상황에 처했으면 샬롯처럼 열심히 도울 것이다.

6

월버는 시골의 작은 농장에서 태어난 제일 작은 돼지이다. 너무 작으면 사료 값만 많이 들고 건강하지 못 할까 봐 죽이려고 했지만 농부의 딸 펀 덕분에 살아남게 되었다. 키우다가 너무 커져서 아는 농장에 보냈는데 이야기는 지금부터 시작이다. 외롭고 심심해서 친구를 구하다가 천장에서 “내가 너의 친구가 되어 줄게.” 라는 소리를 농장 천장에서 듣고 그때부터 샬롯의 친구가 되게 되었다.

그런데 위기가 찾아 왔다. 늙은 양이 보고 들은 소리 인데 윌버가 겨울이 되면 맛있는 베이컨이나 햄이 된다는 소리였다. 윌버를 살리려고 고심을 하다가 샬롯이 거미줄로 멋있는 글자를 쓰기로 하였다. 다음날 샬롯의 거미줄에 ‘대단한 돼지’ 라는 글자였다. 그 글자 덕분에 윌버는 호강하게 되었고, 기자들까지 와서 설쳐 되었다. 그 뒤 계속 글자를 써넣었고, 품평회 날에는 대회를 나가게 되었고, 상까지 타게 되었다. 하지만 윌버를 도운 샬롯은 많은 알들을 낳고 죽었지만. 이 이야기를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윌버의 하루에 빠져들고 있었다.

월버가 자기가 겨울이 되면 죽는 다는 사실을 알 때 나도 가슴이 뛰었고, 샬롯이 월버를 칭찬하는 글자를 거미줄에 쓰고 나서는 샬롯이 고마웠고, 휴~ 다행이다. 하고 생각하게 되었다. 비록 몸집도 다르고, 성격, 행동, 생김새 등 많은 것이 다르지만 이렇게 서로를 위해 도와 주고, 나누고, 아끼는 모습이 좋았고, 자기만 생각하는 탬플턴도 같이 도와 주는 모습도 보기 좋았다. 또, 생명을 아껴서 죽이려는 윌버를 살려 주는 펀의 행동이 따뜻했다. 이 동화를 읽으면서 마음이 따뜻하고, 마음이 훈훈했다. 감동의 이야기였다

7

내가 이 책에서 느낀 점은 '감동'과 '의리'이다. 기억에 남는 말 중에 이런 말이 있었다.

"끝까지 의리를 지켰고 믿음을 저버리지 않았다."라는 말인데 이 말은 자신의 친구를 위해서 끝까지 목숨 바쳐 의리를 지키고 믿음을 저버리지 않은 샬롯의 모습을 나타낸다.

더욱 감동을 느낀 것은 하찮고 작은 동물이라서 쉽게 무시할 수 있는 거미라는 동물이 돼지라는 한 생명을 살린 일이다. 물론 소설(동화)에서의 일이지만, 현실에서도 거미가 글을 안다고 가정을 하고 생각하면 가능한 일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 무녀리로 태어난 윌버가 크게 유명해 져서 잘 살게 된 것은 동물의 생명을 경시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메시지가 담겨 있는 것 같다.

비록 하찮고 약한 것이라도 얼마든지 성공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생각한다.
또한, 사람들의 무한한 욕심에 대해서 풍자하고 있다.

어리석으면서도 욕심이 많은 인간들이 샬롯의 꾀에 넘어가 윌버를 품평회에 내고 좋아하는 걸 보면, 돈에 눈이 먼 인간들이 성찰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 진다.

나도 샬롯의 의리와 믿음, 윌버의 순진하고 천진난만함을 본받고 실천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감동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8

내가 이 책을 읽게 된 동기는 샬롯의 거미줄이라는 책이 5학년 추천 도서이다. 이 책이 5학년 추천 도서이기 때문에 읽게 되었는데 이 책을 읽고 감동을 받았다.

왜냐하면 펀의 아버지는 동물의 목숨을 소중하게 생각을 하지 않는데 펀은 동물의 목숨을 소중하게 생각하며 윌버를 살리고 잘 보살펴 주었다. 돼지를 키우는 것이 힘들었을 텐데 펀은 끝까지 윌버를 키웠다. 나 라면 윌버를 남에게 주었을 텐데 말이다. 8살짜리 동생 돌보기도 힘든데 돼지를 돌보면 얼마나 힘들까? 아무튼 펀은 참 대단하다.

그러나 윌버는 태어난 지 다섯 주가 되자 펀의 품을 떠나야 했다. 왜냐하면 펀의 아버지가 이제는 그 돼지를 팔아야 할 때 라고 하며 말씀을 하시고, 펀의 어머니께서는 삼촌 댁에 팔라고 하셨다. 펀이 윌버가 보고 싶을 때 삼촌 댁에 걸어가서 볼 수 있다고 하시며 펀을 꼬셨다. 마침내 펀은 삼촌 댁에 팔기로 결정했다. 남의 집에 파는 것 보다 삼촌 댁에 파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한 것 같다. 내가 펀이었어도 삼촌 댁에 팔았을 것이다. 윌버를 영영 볼 수 없는 것보다는 내가 삼촌 댁에 가서 윌버를 보는 것이 더 쉽기 때문이다.

그런데 윌버가 마당으로 걸어 나왔는데 암거위가 울타리로 가서 판자를 밀어내고, 판자 사이를 빠져 나와 자유를 얻어 보라고 하였다. 윌버는 암거위가 말한 대로 해보았다. 윌버는 자유를 얻어 신나게 뛰어오르고, 몸을 비틀고, 몇 걸음을 달리고, 멈추어 서기도 하며 자유롭게 행동하였다. 이 광경을 지켜 본 숙모가 돼지가 나왔다고 가족에게 알렸다. 윌버는 이제 야단을 맞을 거라 생각했다. 암거위는 언덕 아래로 도망치라고 하였다. 윌버는 껑충껑충 뛰며 도망갔다.

그렇게 뛰던 윌버는 템플턴에게 친구가 되어 달라고 했다. 템플턴은 돼지랑 친구가 되기 싫다고 말하며 거절했다. 윌버는 샬롯이라는 거미와 친구가 되었다. 늙은 양은 윌버에게 사람들이 윌버를 훈제 베이컨과 햄으로 만든다고 말했다. 윌버는 자신이 햄이 될 거라는 생각에 겁을 먹었다. 샬롯은 그런 윌버에게 자신이 윌버를 지켜 주겠다고 했다. 윌버는 많이 무서웠을 것 같다.

자신이 죽을 거라 생각하니 무서울 것이 따름 없다. 하지만 윌버는 훈제 베이컨과 햄이 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샬롯이 구해 주었기 때문이다. 샬롯과 윌버의 우정이 영원했으면 좋겠다.

9

내가 이 샬롯의 거미줄이란 책을 읽게 된 계기는 한참 샬롯의 거미줄이란 영화가 유명할 때 책장을 살피다가 우연히 샬롯의 거미줄이란 책을 본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그 책 제목을 보고 영화를 보지 못한 나는 영화 내용이 궁금해서 그 책을 집어 들게 되었다. 지금까지 즐겨 읽다가 오늘이 와서야 독후감을 쓰게 되었다. 내가 처음에 이 책을 집어 들었을 때는 책 제목만으로는 느낌이 잘 오지 않는 모르고 있다가 생각을 조금 더 해보니까 잘 떠오르는 게 없었다. 그래서 더더욱 자세히 읽게 되었다. 처음에는 새끼 돼지 윌버를 죽이려고 하는 펀의 아빠의 행동으로 시작된다.

윌버를 죽이려고 하는 아빠를 본 펀은 그것을 말리고 아빠에게 제발 죽이지 말라고 애원하였다. 그래서 펀의 아빠는 윌버를 펀에게 주었다. 펀은 윌버를 꼭 자기 자식처럼 키웠다. 그러나 5주후 윌버는 주커만 씨의 농장으로 팔려 갔다. 펀은 매일 주커만 씨의 농장에 가서 윌버를 지켜 보았다. 며칠 후 윌버는 크리스마스 즈음 되면은 자신이 죽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윌버는 친구 거미인 샬롯이 도와 주겠다는 말을 듣고 조금 안심을 했다.

나는 도대체 왜 펀의 아빠가 월버를 죽이려고 하는 지 잘 모르겠다. 아기 돼지도 확실히 생명인데 말이다. 그리고 펀이 아빠를 말린 행동은 정말로 잘한 것 같다. 그리고 윌버를 자기 자식처럼 키우는 마음이 이해가 된다. 나도 우리 집 강아지인 미실이를 내 자식처럼 사랑하기 때문이다. 아직 진짜 자식은 없어서 이해가 조금 덜 될 수도 있겠지만 나는 그래도 이해가 간다. 그리고 펀의 아빠는 펀이 그렇게 월버를 좋아하는데 어떻게 월버를 또 팔았는지 궁금하다. 딸이 좋아하면 그냥 줄 수도 있는데 그걸 또 굳이 파는지 자식 생각은 안 하는 것 같다. 그리고 내가 만약 윌버인데 크리스마스 즈음 죽는 것을 알았으면 매우 절망적일 것이다. 단 1년도 못살고 죽는 것도 억울한데 살아 있을 때 그것을 알 면 매우 억울하고 절망적일 것이다. 근데 그 때 친구가 자신을 도와 주겠다고 하면 한 줄기의 희망이라도 보일 것이다. 그리고 나도 그렇게 좋은 친구들을 많이 사귀어야겠다.

샬롯은 밤 새도록 거미줄에 대단한 돼지라는 글자를 새겨 넣었다. 아침이 돼서 주커만 씨가 나와 대단한 돼지라는 글귀를 보고 매우 놀랐다. 그 다음 날에는 훌륭한 돼지, 그 다음 날에는 빛나는 돼지 등등 많은 좋은 말을 거미줄에 새겨 넣어 윌버가 유명해 지게 만들었다. 주커만 씨는 윌버를 농산물 박람회에 데리고 나가기로 하였다. 윌버가 농산물 박람회에 나간 날은 겸손한 돼지라는 글귀를 거미줄에 새겨 넣었다. 그래서 윌버는 농산물 박람회에서 동메달을 탔다. 그 덕에 주커만 씨는 윌버를 죽이지 않기로 했다. 그 즈음 샬롯은 자신의 알 주머니를 만들었다. 샬롯은 그날 밤 명을 다해 죽고 윌버는 집에 갈 때 샬롯의 알 주머니를 자신의 입 속에 넣어서 가지고 집으로 돌아왔다. 어느 봄 날 샬롯의 알 주머니에서 새끼 거미들이 태어나고 몇 마리 들은 바람을 타서 날아가고 한 두 마리쯤은 윌버의 곁에 남아 있었다. 매 해 마다 샬롯의 후손들은 한두 마리쯤 윌버의 곁에 남아 주었다. 샬롯의 후손도 윌버의 친구가 되어 주었지만 윌버의 마음 속 한곳에 자리 잡은 샬롯보다는 못하였다.

샬롯의 매우 똑똑한 것 같다. 거미줄에 윌버를 칭찬하는 글귀를 새겨 주커만 씨의 마음을 돌려 놓다니 말이다. 사람도 다른 사람의 마음을 바꾸기는 매우 힘든데 그 작고 말 못하는 거미가 사람의 마음을 바꾸다니 매우 놀라운 일이다. 그리고 샬롯은 윌버를 위해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했다. 사람은 도와 주지도 않고 오히려 골탕을 먹이는 친구도 있는데 샬롯은 의리도 있는 것 같다. 그리고 윌버한테 어떻게 그렇게 좋은 친구를 사귀었는지 물어 보고 싶다. 또 축하 해주고 싶다. 그리고 샬롯의 후손도 착한 것 같다. 한두 마리쯤은 윌버 곁에 남아 주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 같아도 샬롯을 영원히 기억할 것이다.

10


작지만 위대한 우정, 그리고 삶의 의미 - 엘윈 브룩스 화이트, 「샬롯의 거미줄」을 읽고

며칠 전 엄마가 사주신 「샬롯의 거미줄」을 다 읽었어요. 읽는 내내 마음이 따뜻해지고, 눈물이 핑 돌기도 했어요. 윌버와 샬롯의 우정이 너무 감동적이었거든요. 마치 제가 윌버가 된 것처럼 샬롯의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어요.

「샬롯의 거미줄」은 농장에서 태어난 아기 돼지 윌버와 헛간에 사는 거미 샬롯의 특별한 우정 이야기예요. 윌버는 크리스마스 만찬에 오를 운명이었지만, 샬롯은 윌버를 돕기 위해 거미줄에 기적 같은 글자를 써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어요. 샬롯 덕분에 윌버는 특별한 돼지가 되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죠.

처음에 윌버는 샬롯을 무서워했어요. 거미는 징그럽고 무섭다고 생각했거든요. 하지만 샬롯은 윌버에게 친절하게 다가갔고, 윌버는 샬롯의 진심을 느끼고 친구가 되었어요. 샬롯은 윌버에게 "돼지는 왜 햄과 베이컨이 되어야 해?"라고 물으며 윌버의 처지를 진심으로 걱정해 주었죠. 샬롯의 따뜻한 마음에 저도 감동했어요.

샬롯이 거미줄에 글자를 쓰는 장면은 정말 신기했어요. '대단한 돼지', '겸손한 돼지' 같은 글자를 보고 사람들은 윌버를 특별한 돼지라고 생각하게 되었죠. 샬롯은 윌버를 위해 밤낮으로 글자를 쓰느라 몸이 점점 약해졌지만, 윌버를 걱정하는 마음은 변하지 않았어요. 샬롯의 헌신적인 모습에 저는 진정한 친구의 의미를 생각하게 되었어요.

결국 샬롯은 알을 낳고 죽음을 맞이했어요. 윌버는 샬롯의 죽음을 슬퍼했지만, 샬롯의 마지막 선물인 알 주머니를 소중히 간직했죠. 봄이 되자 알 주머니에서 샬롯의 아기 거미들이 태어났고, 윌버는 아기 거미들을 친절하게 돌보며 샬롯과의 약속을 지켰어요. 샬롯의 아기 거미들이 윌버 곁을 떠나는 장면을 읽으면서 저도 모르게 눈물이 났어요. 

이 책을 읽고 나니 주변 친구들이 더 소중하게 느껴졌어요. 저에게도 샬롯 같은 친구가 있을까요? 저도 친구들을 위해 샬롯처럼 헌신적인 친구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했어요. 그리고 샬롯처럼 작은 생명도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가져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샬롯의 거미줄」은 단순한 동화가 아니에요. 진정한 우정과 삶의 의미에 대해 생각하게 하는 책이죠. 이 책을 읽고 나면 세상을 보는 눈이 달라질 거예요. 저는 이 책을 모든 친구들에게 추천하고 싶어요.

자전거 도둑 - 박완서

[Daum책] 자전거 도둑 http://durl.me/xvj3

1

얼마 전에 <자전거 도둑> 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은 나에게 많은 물음을 던졌다. 책의 내용을 간단히 말하자면 이렇다.

수남이의 나이는 열 여섯이며 전기 용품 도매상 직원이다. 고향은 시골인데 돈을 벌기 위해 서울로 왔다. 수남이는 성실하고 부지런해서 사람들의 귀여움을 받았다.

그러던 어느 날, 바람이 굉장히 세게 불어서 가게의 간판이 날아와 한 아가씨의 정수리에 부딪쳤다. 잘못한 건 바람이지만 그 가게 아저씨가 보상을 해 줘야 했다.

또 하루는 자전거를 타고 전구 배달을 갔는데, 자전거를 어떤 고급 차 옆에 세워 놓았다가 갑자기 바람이 불어 자전거가 쓰러졌다. 그래서 그 자동차에 흠집이 나고 말았다. 그 차 주인은 펄펄 뛰며 수남이에게 화를 냈다.

이 부분에서 나는 정말 궁금한 것이 있었다. 간판이 날아가고 자전거가 쓰러져 자동차에 흠집을 낸 것이 왜 모두 주인의 책임일까? 간판이 날아간 것도 자전거가 넘어져 차에 흠집이 난 것도 순전히 바람 잘못인데 말이다. 그런데 왜 이런 것들을 주인이 보상을 해야만 할까? 참 불공평한 세상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서는 슬픈 장면도 몇 차례 나온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자전거에 자물쇠를 채워 놓고 돌아간 신사의 모습이었다. 이 장면을 생각하면 울 수밖에 없다. 책도 이런 내 마음을 아는지, 구경하던 사람들이 수남이에게 말했다.

“그까짓 자전거 놓고 도망치렴.”

하지만 나는 그 부분을 읽을 때 ‘그것도 도둑질인데 어떻게 하지? 어른들이 저러면 안 되는데......’ 하는 생각이 들어 걱정이 되었다.

그러나 수남이는 어른들의 말처럼 자전거를 번쩍 들고 가게로 돌아갔다. 심지어 수남이는 자전거를 지고 도망가면서 즐거워했다. 이것은 엄연한 도둑질인데 말이다.

게다가 주인 아저씨는 도둑질과 마찬가지의 일을 한 수남이를 보고 나무라기는커녕 손해가 안 났다고 좋아했다.

한편, 수남이는 우연히 평소에 좋아하던 주인 아저씨의 얼굴이 누런빛이란 걸 알아차리게 된다.

이 부분을 읽을 때 나는 얼굴의 누런 빛이 뭔지 몰랐다.

그런데 서울 상가의 사람들을 생각 해 보니 금방 이해가 되었다. 내가 본 서울 사악의 사람들은 욕도 많이 하고 성질도 괴팍하고 급했다. 또 자기만 챙겼다. 그런데 그 사람들 얼굴빛은 모두 누런빛이었다. 한마디로 누런빛은 도둑과 같이 사람들의 얼굴을 나타내는 것이었다.

이 일로 수남이는 몰래 짐을 쌋다. 그리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고향에 도착한 수남이 얼굴엔 누런빛이 어느새 사라졌다. 소년다운 청순함으로 빛이 났다. 수남이가 드디어 양심을 찾게 된 것이었다.

그제야 수남이도 주인 아저씨가 자신에게 겉으로만 따듯했지, 속으로는 나쁜 속셈이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 같다.

물론 이런 사실들을 점차 알게 되면서 수남이는 억울했을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주인 아저씨를 좋아해서 열심히 일한 것이 모두 헛수고처럼 느껴 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둑이 될 뻔한 수남이가 도둑이 되지 않은 것은 정말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는 우리들에게 ‘양심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다.

대부분 아이들의 마음은 깨끗하다. 그런데 자라면서 나쁜 것을 배우게 된다. 이것은 어른의 영향이 크다. 모든 사람들이 깨끗한 마음으로 세상을 곧게 산다면 얼마나 좋을까?

2

이 이야기는 16살 꼬마 점원이라 불리 우는 수남이라는 아이의 이야기이다. 형이 집안 식구들을 먹여 살린다고 도회지로 나아가 망하였는데 자신만을 쳐다보는 어린 동생들 그리고 부모님,,, 그래서 도둑질을 하여 선물도 사 오고 그랬지만, 교도소에 들어가게 된 후, 수남이가 떠나려 하자 수남이 아버지께서는 “무슨 일을 해도 좋으니, 도둑질 만은 하지 말아라” 라고 말씀하셨다. 그리하여 수남이는 작은 가게에서 꼬마 점원으로 생활을 하게 된다.

수남이는 부지런하고 끝까지 돈을 받아 내는 끈질김으로 영감님과 다른 아저씨들의 사랑의 꿀밤을 맞고는 했다. 항상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아침마다 영감님의 포옹을 할 때면 어릴 때 부모님과 떨어져 살아야 했던 수남이에게는 작으나마 수남이의 행복이었다.

어느 날, 여지 없이 다른 가게에 돈을 받으러 갈 때, 갑자기 바람이 불더니 자전거가 날아가 더니, 고급 차에 박아 아주 조금 흠집이 났는데 수남이가 울고 불고 해도 돈 5000원을 가져오지 않으면 자전거를 주지 않겠다며 협박을 하면서 자전거에 자물통을 채워 잠궈 놓았다. 수남이는 죽자 살자 라는 마음으로 자전거를 가지고 무지하게 빨리 달려 철물점에 도착하였다.

그 날밤, 아버지가 도둑질 만은 하지 말라고 당부하신 말씀이 맴돌아 고민을 하고 괴로워하게 되는 한 어린 점원의 이야기 이다.

한참 부모님의 사랑을 받아야 할 어린 나이에 힘든 철물점 생활에도 불구하고 항상 자신이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고, 항상 밝게 웃는 얼굴로 살아가는 모습이 너무 아름다워 보이고 본받고 싶었다.

또 그 운전사 같은 사람은 참 인정이 메마르고 이기적인 사람 같다.

수남이가 울면서 자전거를 가지고 열심히 달리는 모습과 저녁에 자신이 도둑질을 했다는 그 죄책감에 시달려서 우는 모습이 아직도 눈 앞에 생생하고 가슴에 와 닿아 너무 찡했다. 내가 만약 이런 상황에 처했다면 부모님께 매달려 살거나 너무 힘들어 웃지도 않고 부지런하지도 않아 게으르고 부정적인 사고를 가지며 이 인생에 대한 불만이 가득했을 것이다.

나는 수남이보다 더욱 좋은 환경에 이렇게 행복하게 할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상 “짜증나” 소리를 달고 다녔었던 내가 참 한심한 것 같았다.

자전거 도둑이라는 이 책은 나의 양심을 일깨워 주는 좋은 내용이 담겨 있는 것 같았다. 이 책도 역시 짧은 내용이지만 무언가 가슴 속에서 울리는 무엇 인가가 있는 것 같다. 물질적으로만 풍요로운 삶, 그러나 인간미나 정 등은 찾아 보기 힘든 이 세상에서 행복을 찾을 수는 없는 것 같다. 이 책 속의 이야기들이 삭막한 우리 세상을 많이 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많이 안타깝고 고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 그렇지 않은 곳이 변한 세상이나 사람보다 많을 것이라는 위로를 한번 해 본다. 나부터라도 자신에게 조금의 피해가 갔다고 하더라도 받아 내려 하지 않고 나보다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고 도움을 주려 하는 그런 마음 따뜻한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3

나는 이 책을 학원 선생님이 주심으로서 처음 접해 보았다. 처음 받았을떄는 기분이 좋았으나 이내 내 관심에서 벗어났다.

그러던 어느 날 새로운 책이 없을까 하며 책을 둘러 보던 중 이 책을 보았고 박완서씨의 작품인 것도 알자 더욱 흥미가 갔다. 그것이 이 책을 읽게 된 동기였다. 이 책은 6편의 단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책의 제목인 자전거 도둑을 써 보도록 하겠다.

이 책은 인간의 도덕성에 관해 써 있다.

수남이는 전기 용품 도매상에 꼬마 점원이다. 보통 점원에 비해 어린 탓에 동네에는 꼬마라는 별명으로 더알려있다.

수남이는 자주 아저씨 손님들에게 늘 알밤을 맞는다. 하지만 이 알밤은 시늉만 컸지 아프진 않다. 알밤을 먹이는 것은 귀여운 아기를 보면 물어뜯어 기어코 아기를 울려 버리는 것처럼 아저씨들의 일종의 애정표시였다.

그러나 수남이에겐 이런 아저씨들보단 더좋은사람이 있었다. 바로 주인집 영감님이다. 영감님은 수남이에게 잘 대해 줄뿐더러 수남이가 알밤이 먹는 것이라도 보면 항상 보호 해주며 수남이가 공부를 잘하는 듯 자랑을 한다.

이런 할아버지의 행동에 수남이는 더욱 좋았다. 그래서 졸리지만 조금이라도 공부를 했다. 그러던 어느 바람이 몹시불던날 수남이는 다른 소매상의 주문 전화를 받고 배송을 하고 오던 중 그만 바람에 자전거를 넘어뜨려 옆 고급차에흠집을 내고 말았다. 고급 차에 걸맞게 안에서는 한 신사가 나와 5천원 만달라하자 수남이는 동네구경꾼에말의 힘입어 용서를 구하나 소용이 없었다. 신사는 결국 수남이의 자전거에 자물쇠를 채우고 돈을 갖고 사무실로 오라 했다.

신사가 가져 구경꾼들은 가지고 도망가라고 보채기에 바빴고 그 말을 들은 수남이는 용기가 생긴 마냥 자전거를 들고 온다. 그러자 주인 영감님은 운텄다면 칭찬하기 바빴다. 그리고 그날 밤 여느떄와 같이 자유로운 상상을 하던 중 자신이 한일을 생각하며 전에 있던 형의 도둑질을 회상하며 그날의 도둑질을 후회하고 만다. 그리고 그 잘못한 행동을 꾸짖지 못한 영감님의 행동에 실망감을 갖고 짐을 싸 고향 길로 돌아온다.

이 책은 인간의 도덕성에 관해 말한다. 나는 이 책에서 사람의 돈에 관한 욕망을 잘 알 수 있었다. 크게 주인 영감님과 신사의 행동을 보고 알았다. 주인 영감님이 수남이의 도둑질을 돈의 손해가 없게 되자 꾸짖지는 못할 망정 칭찬을 하는 점과 신사의 차의 흠집이 발견되자 생색내며 협상을 하자 하며 조금의 자비도 베풀지않은점이다. 이점은 사람들의 본능을 나타내기도 한 부분이다. 사람들은 도둑질을 하거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규칙을 어길 때 쾌감을 느낀다.

하지만 그것을 형의 도둑질을 보고 잘못됬단걸 아는 수남이는 쾌감보단 죄책감을 느낀다.
이 책은 이런 도덕성이 없어지는 현대인들에게 이점을 알리려는 것 같다.

4

수남이는 청계천 세운 상가에서 전기 용품을 파는 도매상의 점원입니다. 전기 용품을 배달하고 가게를 보는 것이 수남이의 일입니다. 그런 수남이는 못한 공부를 하기 위해 저녁에 야학(夜學)에 갈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바람 부는 어느 날 배달을 갔다가 자전거가 바람에 휩쓸려 고급 승용차에 흠집을 냈습니다. 자동차 주인은 5000원을 내라며 자전거에 자물쇠를 채웠는데 수남이는 자전거를 몰래 들고 가게로 돌아옵니다. 인자하고 너그러운 줄 알았던 가게 주인은 자물통을 깨고 나서 잘했다고 수남이를 칭찬합니다. 그것을 본 수남이는 양심의 가책을 느껴 그 다음날 짐을 꾸려서 떠나기로 결심합니다.

이 이야기에서 수남이는 고등학교에 가지 못한 소년입니다. 그래서 취직해 밤이면 고등학교 공부를 혼자 합니다. 이런 수남이에게 주인은 야학을 가더라도 일류 야학을 가야 한다고 격려해 주고 칭찬해 줍니다. 그렇다면 수남이는 왜 제 나이에 공부하지 않고 점원이 되었을까요?
이 이야기의 배경이 되는 시절은 한창 우리 나라가 경제 개발을 하던 20~30년 전입니다. 경제 개발이라는 것은 공산품(工産品)을 많이 만들어 내 외국에 수출을 해서 돈을 벌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그러려면 도시라든가 공장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게 됩니다. 그러한 인력은 농촌에서 구할 수밖에 없어 농촌의 소년들이나 소녀들은 모두 공장에 취직을 하면서 경제 발전의 밑거름이 되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농촌은 갈수록 피폐해 지고 살기 힘들어 졌습니다. 당시의 청년들이나 어린 아이들은 가정 형편이 어려워 지면 무작정 서울로 올라와서 일거리를 찾는 일이 많았습니다. 이것을 ‘무작정 상경(上京)’이라 합니다. 수남이 역시 가난한 가정 형편 때문에 시골을 버리고 서울의 청계천에 와서 한 가게의 점원이 되었던 것입니다.

자전거가 바람에 휩쓸려 자동차에 흠집을 내고 수남이가 그 자전거를 훔쳐 온 것은 본의 아닌 도둑질입니다. 자기 자전거이지만 자물쇠로 채워 놓은 것을 들고 왔기 때문입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한 가지 중요한 점을 깨달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사건이 얽히고 설키며 도둑질까지 이어지게 된 것은 무엇 때문일까요?

그것은 바로 순간의 선택을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자동차 주인은 바람에 쓰러진 자전거가 자동차를 흠집 냈지만 그것은 전적으로 수남이의 잘못이 아님을 깨달았어야 합니다. 그랬다면 악착같이 자전거의 자물쇠까지 사다 채우면서 5000원을 가져오라고 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너그러운 마음으로 용서를 해주고 기분 좋게 수남이를 보내는 것과 악착같이 돈을 받아 내는 것, 이 두 가지 가운데 하나를 자동차 주인은 선택해야 했습니다. 여기에서 자동차 주인은 돈을 받아 내겠다는 선택을 했고, 그로 인해서 수남이는 두려움에 떨게 됩니다.
수남이 역시 자물쇠를 채워 놓은 자전거를 어떻게 해야 할까 모르다 주변 사람들이 부추기는 대로 도망가기로 결정을 한 순간 스스로 도둑질을 하게 됩니다.

만일 제대로 했다면 주인에게 돌아와서 이야기한 뒤 돈을 가지고 가서 자전거를 찾아 왔어야 합니다. 수남이 역시도 최악의 선택을 해서 자전거 도둑질을 한 겁니다. 점포 주인도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올바른 선택이었다면 수남이를 꾸짖고 자동차 주인을 찾아가서 돈을 물어 주었어야 할 것입니다. 자기 자전거가 남에게 피해를 주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자전거 주인은 오히려 수남이에게 잘했다고 칭찬을 하면서 열심히 자물쇠를 뜯어내려 애를 씁니다. 자전거 주인 역시 최악의 선택을 한 것입니다.

이처럼 우리는 살다 보면 여러 가지 선택을 해야만 합니다. 어떠한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사람의 인생은 크게 바뀌거나 잘못될 수도 있고 잘될 수도 있습니다. 올바른 선택을 하고 양심에 어긋나지 않는 선택을 하기 위해서 우리는 항상 도덕과 양심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합니다.

순진하기만 한 수남이는 자전거를 훔치고 나서 갑자기 이 세상을 알아 버렸습니다. 인자하고 따뜻한 줄로만 알았던 주인 아저씨의 행동이나 자동차 주인의 행동을 통해서 세상의 어두운 면을 보았던 것입니다. 도둑질을 해서 잡혀 가던 형의 옛 모습을 보면서 수남이는 절대 도둑질을 하지 않겠다고 결심했지만, 자신도 모르게 자전거를 들고 옴으로써 결국 도둑질을 한 꼴이 되었습니다.

수남이의 얼굴이 누런 똥 빛이 된 것은 바로 자신이 양심에 거리낀 행동을 했기 때문입니다. 양심이라는 것은 ‘우리 마음에 스스로 옳다고 생각하는 마음’입니다. 하늘이 내려 준 선량한 마음이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양심을 거리끼게 되면 자신의 마음이 비뚤어지게 되고 결국은 영혼까지도 병들게 됩니다. 인격을 쌓으려면 바로 이러한 양심을 잘 길러야 하는 것이지요.

수남이는 자전거 사건을 통해서 어른들의 사악한 면을 발견하게 되었고, 그럼으로써 그 가게에서 더 이상 있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가게를 떠나기로 작정을 하자 수남이의 얼굴이 비로소 순수한 청년의 얼굴로 바뀌었던 것은 이러한 어려운 경험을 하고 난 뒤 어른이 되고 자신의 양심을 되찾았기 때문입니다. 양심에 거리끼는 행동, 그것은 무엇보다도 내 자신이 용서할 수 없는 죄악입니다.

5

처음에 제목을 읽고는 어떤 사람이 자전거를 훔치며 죄책감을 느끼는 이야기 인줄 대충 짐작해 보았다. 그리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하지만 마지막 책을 덮을 때에는 부도덕한 현대인을 생각하게 한 친숙하면서 이세상에는 한번쯤 있음 직한 일이라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은 물질만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부도덕함에 대한 비판과 도덕성 회복의 필요성이 잘 드러나고 있다.

수남이는 청계천 세운 상가 뒷길의 전기 용품 도매상의 꼬마 점원이다. 수남이는 돈을 벌기 위해 고향을 내려와 도시에서 살아가고 있다. 바람이 심하게 불던 어느 날, 수남이는 배달을 가게 된다. 배달을 마치고 자전거에 타려는 순가 신사가 수남이를 잡았다. 그 이유는 신사의 고급 차를 수남이의 자전거가 우그러뜨리게 한 것이다. 신사는 자전거를 자물쇠로 잠과 5천원을 가져오면 풀어 주겠다고 했다. 하지만 수남이는 그것을 훔치고 쾌감을 느끼게 된다. 결국 수남이는 아버지가 있는 고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 책을 이끌어 가는 책의 화자는 어리고 순수하고 부지런한 소년인 수남이이다. 순진한 어린 소년의 시선으로 어른들의 보도덕성을 효과적으로 부곽되어 나타내어 이 책의 화자는 적절하다고 보여 진다.

발단 부분에서 주인 영감은 수남이에게 착하고 내편이 되어 주는 사람으로 비춰 진다. 수남이의 부지런함은 주인 영감의 칭찬을 듣고 싶어서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하지만 주인 영감은 표면적으로는 수남이를 칭찬하고 격려하면서 내면적으로는 수남이를 혹사한다.
그리고는 바람이 등장한다. '바람' 수남이는 이 바람을 공경하고 따스한 존재로 받아들이지만 현실의 사람들은 그렇지 않다.

글쓴이는 바람으로 인해 수남이의 불길한 사건을 짐작하게 한다. 또, 이 글의 중요한 사건을 바람이 이끌어 가게 된다.

그 사건은 아크릴 간판이 지나가던 아가씨의 정수리를 들이받으며 피를 흘리게 된다. 하지만 사람들은 아가씨 걱정보다는 아저씨의 피해 금액이 더 신경 쓰인다. 글쓴이는 이 사건을 보면서 물질만을 추구하는 현대인을 비판한다. 돈이 최고고 인간을 돈보다 더 낮게 하는 현대인.. 그 현대인들의 문제점을 이 사건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남이에게 일어난 중요한 사건, 바로 자전거를 훔친 사건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만일 내가 수남이였다면 열심히 돈을 모아 5천원을 다시 신사에게 갚을 것이다. 하지만 수남이가 왜 자전거를 훔쳤는지 나는 이해를 할 수 없었다.

수남이가 큰 죄책감을 느낀 이유는 바로 '쾌감'이다. '쾌감' 이 두 글자가 수남이를 괴롭힌 이유는 수남이가 자전거를 훔치면서 쾌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쾌감이라니.. 쾌감이라니.. 수남이는 그래서 죄책감을 느꼈을 것이다. 나는 어쩔 수 없는 수남이가 좀 불쌍하고 애처로웠다.

이 사건이 일어난 후 수남이는 주인 영감에 대한 정이 떨어지고 만다. 그 이유는 주인 영감이 잘못을 한 수남이를 혼내기는커녕 잘했다고 칭찬해 졌기 때문이다. 그래서 수남이는 자신을 충고해 줄 그런 아버지를 찾아 고향으로 간 것이다. 나는 수남이의 선택이 올바르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뒷정리를 하고 가야 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떠나더라고 나였다면 열심히 일해서 5천원을 벌고 갈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부분은 수남이가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

책의 내용은 여기까지 이다. 이 책은 물질만을 추구하는 현대인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책이었다. 나는 이 책을 쓰신 돌아가신 박완서 선생님을 존경하고 더욱더 그녀를 생각하게 한 책이었다.

6

나는 도서관에서 소설가 박완서의 '자전거 도둑'이라는 책을 빌렸다. 이 책에는 사람들에게 16살이지만 발그스름한 볼과 어린 외모, 순진한 성격 탓에 꼬마로 통하는 소년인 주인공 수남이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한 시골 마을에 사는 주인공 수남이의 가족에는 아버지, 어머니, 수남이, 형, 동생이 있었다. 수남이네 집은 너무 가난해서 고등학교에 갈 나이인 수남이는 학비가 없어 고등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집안 형편이 더욱 나빠지자, 형은 서울로 가서 돈을 벌어 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떠났다. 2년 후, 드디어 형이 정말 돈을 많이 벌어 음식, 물건들을 사 가지고 돌아왔다.

그런데, 그 다음날 형은 경찰들에게 잡혀 갔다. 알고 보니 형은 자신이 돈을 벌어서 생긴 돈으로 물건을 샀던 것이 아니라 읍내 가게를 털어 물건들을 훔쳐 왔던 것이었다. 결국, 형은 교도소로 들어가게 되고 이번에는 수남이가 서울 가서 돈 벌어 오겠다고 집을 나서게 되었다. 아버지는 말리지 않고 수남이에게 "무슨 일을 해도 좋으니 도둑질은 하지 마라"라고 타일렀다.

그 후, 수남이는 서울의 한 철물점에서 일하게 되었다. 수남이는 그 철물점에서 손님들에게 수남이라는 이름 대신에 <꼬마>로 통한다. 그러던 어느 날, 평소와 같이 영감님의 심부름을 하고 나온 수남이는, 갑자기 바람이 불어 어느 고급 차에 흠집을 내는 사고를 내고 말았다. 그런데 그 고급 차의 주인인 신사는 수남이에게 5천원을 물어내라고 했다.

수남이는 5천원이라는 돈은 너무나도 커서 줄 수 없었다. 수남이는 신사에게 잘못했다고 빌었지만 신사는 끝까지 5천원을 내놓으라며 수남이의 자전거를 자물쇠로 잠그고, 5천원을 가져오기 전까지는 열쇠를 주지 않겠다고 하였다. 자전거가 묶여 버린 수남이는 누군가 자신에게 비도덕적인 일을 하라는 속삭임을 들었다. 수남이는 고민하던 끝에 자전거를 들고 달려 철물점으로 도망갔다. 철물점으로 무사히 도망쳐 온 수남이는 무서우면서도 쾌감을 느꼈다. 하지만 그때 수남이는 아버지께서 "무슨 일을 해도 좋으니 도둑질은 하지 마라"라고 했던 것이 생각났다. 수남이는 죄책감이 들었고 자신이 또 이런 일을 저지르게 될지 모른다고 생각하여 고민을 한 끝에 결국, 수남이는 짐을 꾸리고 떠난다.

나는 이 이야기에 나오는 신사가 인정이 없고 너무 이기적인 사람 같다고 생각한다. 수남이가 고의로 한 것도 아니고 실수로 사고가 났음에도 불구하고 수남이의 월급에서 아주 많은 양인 돈을 물어내라는 터무니없는 요구를 했기 때문이다. 나는 이런 상황에서는 영감님을 불러 일을 해결하였을 것 같다. 그것이 더 양심적이고 도덕적인 행동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 책을 읽고 나서 수남이보다 더 좋은 환경에서 살고 있는데도 항상 "짜증나!"하고 불평했던 내 모습이 부끄러워 졌다. 또한, 나는 나에게 조금의 피해가 갔다고 하더라도 복수하거나 받아 내려 하는 신사 같은 이기적이고 자신의 이익만을 바라보는 사람이 되지 않고 남을 생각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마음이 넓고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다.

이 책도 역시 짧은 내용이지만 무언가 가슴속에서 울리는 무엇 인가가 있는 것 같다. 물질적으로만 풍요로운 삶, 그러나 인간미나 정 등은 찾아보기 힘든 이 세상에서 행복을 찾을 수는 없는 것 같다. 이 책 속의 이야기들이 삭막한 우리 세상을 많이 닮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많이 안타깝고 고치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직 그렇지 않은 곳이 변한 세상이나 사람보다 많을 것이라는 위로를 한 번 해본다. 나부터라도 자신에게 조금의 피해가 갔다고 하더라도 받아 내려 하지 않고 나보다 어려운 이웃을 돌아보고 도움을 주려 하는 그런 마음 따뜻한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겠다.

7

바람에 흔들리는 양심, 그리고 용기 - 박완서, 「자전거 도둑」을 읽고

  어제 학교 도서관에서 박완서 작가님의 「자전거 도둑」을 읽었어요. 읽는 내내 마음이 불편하고 답답했는데, 책을 덮고 나니 오히려 제 마음속에 무거운 돌덩이가 얹힌 것 같아요. 주인공 수남이의 마음이 제 마음 같아서 그런가 봐요.

  수남이는 시골에서 서울로 올라와 전기 용품점에서 일하는 아이예요. 열심히 일해서 번 돈으로 자전거를 샀는데, 어느 날 세찬 바람에 자전거가 넘어져 옆에 있던 고급 자동차에 흠집을 내고 말았죠. 차 주인은 수남이에게 엄청난 수리비를 요구했고, 겁먹은 수남이는 결국 자전거를 끌고 도망쳐 버려요. 자전거 도둑이 된 거죠. 

  여기까지 읽었을 때는 '아니, 왜 도망쳐? 그냥 사실대로 말하면 되잖아!'라고 생각했어요. 수남이가 답답하고 바보 같았죠.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 보니 수남이의 마음도 이해가 됐어요. 차 주인의 험악한 표정과 거친 말투, 그리고 엄청난 수리비를 감당해야 한다는 두려움에 수남이는 어쩔 줄 몰랐을 거예요. 저라도 그 상황에 놓였다면 아마 수남이처럼 도망쳤을지도 몰라요.

  도망친 수남이는 자전거를 숨겨놓고 용품점 주인 영감님께 이 사실을 털어놓아요. 그런데 영감님은 오히려 수남이를 칭찬하며 "잘했다! 그놈에게 돈을 뜯길 뻔했는데, 네가 잘 도망쳤다!"라고 말씀하세요. 순간 수남이는 머리를 한 대 얻어맞은 기분이었을 거예요. 자신을 아껴주던 영감님마저 옳고 그름을 따지기보다 돈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모습에 수남이는 실망하고 말았죠. 저도 이 부분을 읽으면서 어른들에 대한 믿음이 깨지는 기분이었어요. 어른들은 항상 옳은 일을 해야 하고, 아이들에게 모범을 보여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영감님은 그렇지 않았으니까요.

  결국 수남이는 서울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해요. 수남이에게 서울은 차갑고 삭막한 곳이었을 거예요. 돈보다 중요한 것은 양심이라는 것을, 진실을 말하는 것이 용기라는 것을 알려주는 어른은 아무도 없었죠. 수남이가 떠나는 기차를 보면서 저는 마음이 아팠어요. 수남이가 다시는 서울에 오지 않을 것 같았거든요.

  이 소설을 읽고 나니 정말 많은 생각이 들어요. 돈이 세상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 어려운 상황에서도 용기를 내어 진실을 말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진정한 어른이 된다는 것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요. 저도 수남이처럼 어려운 상황에 놓일 수도 있겠죠. 하지만 그럴 때마다 수남이를 떠올리며 용기를 내야겠다고 다짐했어요. 

  이 책을 읽고 나니 주변 어른들을 다시 한번 돌아보게 돼요. 혹시 제 주변에도 돈만 좇는 영감님 같은 어른은 없는지, 진실보다 거짓을 앞세우는 어른은 없는지 말이에요. 그리고 저는 그런 어른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해야겠다고 생각했어요.

  「자전거 도둑」은 단순한 동화가 아니에요. 어른들에게도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이죠. 이 책을 더 많은 친구들이 읽고 수남이의 마음을 느껴봤으면 좋겠어요. 그리고 우리 모두가 수남이처럼 용기 있는 사람이 되기를 바라요.